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교수는 “당시 일본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처음에는 7.9로
발표
했다가 3시간 뒤 8.8로 수정했다”며 “만약 중력장의 변화를 관측했다면 수 분안에 9 이상으로 지진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074 ... ...
[과학뉴스]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신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발표
했다. 자가 치유 능력은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에 나오는 T-1000처럼 상처를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이다. 기존에 개발됐던 자가 치유 물질들은 회복된 뒤 기계적인 강도가 떨어졌다. 황성연, 박제영,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스스로 전기를 내는 전기뱀장어를 모방한 마이크로 크기의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가 개발됐다. 전기뱀장어는 전기발생세포(electrocyte)가 생체 내 이온의 농도 차를 이 ...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에너지’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
됐다. doi : 10.1016/j.nanoen.2017.11.05 ...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먼저 온 국민의 사랑을 받는 치킨. 열량이 굉장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이 2012년 9월에
발표
한 ‘프렌차이즈 치킨 품질 시험 결과보고’에 따르면, 기름에 튀긴 치킨은 100g당 평균 299kcal입니다. 한 마리당 평균 열량은 1851kcal이고요. 가령 1일 권장 영양섭취 기준이 대략 2000kcal 전후라고 하면 치킨 1~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변모한 사례는 슈퍼컴퓨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매년 세계 슈퍼컴퓨팅 콘퍼런스에서
발표
하는 성능 순위 500위(TOP500)에서 2017년 1위와 2위 모두 중국 슈퍼컴퓨터가 차지했다. 과거 중국의 슈퍼컴퓨터는 인텔의 중앙처리장치(CPU)를 이용한 따라잡기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 1위에 이름을 올린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반응성을 체외에서 그대로 반영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어 2013년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
했습니다. doi:10.1038/nm.3201 이제 병원에서 적은 양의 낭포성 섬유증 환자 장 상피 조직만 있어도, 임상시험보다 안전하고 저렴하게 약물 반응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이 연구는 줄기세포가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담은 논문을 2011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저널 ‘초전도 응용 처리’에
발표
했다. 이 논문은 학계에서 초전도 자석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초전도 관련 국제학회에서는 무절연 세션이 별도로 마련되기도 했다. 절연체가 사라지면서 초전도 자석의 크기가 대폭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많이 받았다. 생명아너클래스는 교수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들이
발표
하고 토론하면서 진행하는 수업이다. 가령 ‘인공지능(AI)은 생명인가’라는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직접 논문을 찾고 토론을 하며 수업이 진행된다. 장 씨는 이 수업을 통해 생명의 정의와 근원 등에 대해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있습니다. 2015년까지 평범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2016년 3월
발표
한 연구로 단숨에 수학계 샛별로 떠올랐습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를 하루아침에 유명하게 만든 연구는 바로 케플러 추측의 8차원과 24차원 문제입니다. 사과나 오렌지처럼 동그란 물체, 즉 구를 최대한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항공우주국 연구팀은 주노 탐사선이 목성 대적점에 관한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고
발표
했어요. 대적점은 목성의 남반구에 위치한 타원 모양의 거대한 소용돌이 구름이에요. 보통 붉은색을 띠고 있는데, 시간에 따라 색의 진하기가 조금씩 변하지요. 또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답니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