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4억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먼 조상 생물이었을 것으로 분석됐다.데릭 브릭스 예일대 지질학및지구물리학과
교수
는 “솔라시나 크툴루를 포함한 고대 극피동물 화석의 발견으로 이들의 진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98/rspb.2018.279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MRI로 혀 움직임 실시간 확인전문 보컬 트레이너나 성악과
교수
는 노래하는 모습만 보고도 ‘왼쪽 어깨를 들라’거나 ‘혀를 입천장에 더 붙이고 소리를 내라’는 등 조언을 한다. 경험을 통해 소리를 내는 방법을 알기 때문이다.김 원장은 “그간 근육의 움직임을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대한 갑론을박이 최근까지도 치열했다. 하지만 아이작 실버라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부
교수
팀은 영하 260도, 490만 기압의 초저온, 초고압 환경에서 광택을 보이는 금속 상태의 수소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7년 2월 17일자에 발표하며 수소의 1족 분류에 대한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이번 수상이 새로운 세대의 여성들이 수학의 길로 가는데 용기를 북돋우길 바랍니다.” 거침없고 당당한 모습은 필자가 기억하는 수십 년 전 카렌 ... 후학들에게 영감과 위로를 주는 천재적 재능의 수학자다. 아벨상 수상에 울렌백
교수
만큼 잘 어울리는 사람도 흔치 않으리라 생각한다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나타낸 뒤 눈의 운동을 시뮬레이션합니다. 디즈니는 겨울왕국이 개봉할 당시 테란
교수
의 영상을 함께 공개했습니다. 이것만 봐도 디즈니가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수학적인 기술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올해 디즈니는 겨울왕국의 후속작 ‘겨울왕국2’를 개봉할 ... ...
[사랑고민상담소] 25년차 솔로의 소개팅앱 성공전략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신념을 만들어 낸다”고 말했습니다. 그럼 이런 사람들은 어떻게 설득해야 할까요. 혼시
교수
는 “과학적 사실을 계속 제시하기보다는, 내재한 태도 자체를 지적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예를 들어 백신 접종에 반대론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백신의 장점을 얘기하기보다는, 앞서 말한 ... ...
나라를 구한 의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국내로 돌아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조
교수
로 취임해 위생학 교실을 만들었답니다.당시 조선에서는 경찰을 중심으로 강압적인 위생 활동이 진행되고 있었어요. 김창세 박사는 이러한 경찰의 강압적인 활동이 조선인의 반감을 불러 위생 활동이 널리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나무를 타기 좋은 신체 구조를 가졌다.윌리엄 정거스 미국 스토니브룩대 해부학 명예
교수
는 “호모 루조넨시스의 발견은 인류의 진화가 알려진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67-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토성은 태양계에서 밀도가 가장 작은 행성이다.오로스
교수
는 “두 행성을 발견했을 때에도 제3의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며 “하지만 당시에는 천체면을 통과할 때 신호가 약해 확신하지 못하고 계속 추적 관측을 해온 끝에 세 번째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말을 하게 되면서 뇌에서는 새롭게 신피질(Neocortex)이라고 부르는 영역이 확장됐다.전
교수
는 “신피질을 통해 지능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순서화된 발음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며 “자유로운 음성 언어를 구사해 뇌 구조가 한층 더 정밀하게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