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566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대본 "수도권 거리두기1.5단계로 격상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입국자에 대해 검역 조치를 강화하면서 한국발 비행기 탑승객은 항공편 탑승 전 두 차례
유전
자검사(PCR)를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박 1차장은 “11일 0시부터 한국에서 출발하는 중국행 항공편 탑승객은 탑승 전 PCR 검사를 2회 실시해야 한다”며 “중국 입국 예정인 국민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11일 ... ...
동아시아인 형성 핵심 몽골 인류의 6000년 변천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하지만 다른 낙농업지역과 달리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에게선 유당(락토스)을 분해하는
유전
자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장내미생물 등에 의한 다른 적응을 통해 유제품 소화가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반도에 사는 인류집단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다만 ... ...
크리스퍼
유전
자 가위 오작동 높은 민감도로 찾아낸다
연합뉴스
l
2020.11.05
표적 DNA들도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검측해 냈다. 이승 박사는 "희귀난치성 질환이나
유전
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지난 7월 18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자가 트럼프와 싸워야 할 이유
2020.11.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네바다주 헨더슨의 한 중장비 생산공장에서 유세를 마친 뒤 지지자 수천명의 환호를 받으며 박수치고 있다. AFP/ ...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바이러스, 라마에서 배운 합성나노항체로 막는다
2020.11.05
침입을 막는 중화(中和) 능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했다. 먼저 렌티바이러스의
유전
자를 변형해 표면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생기게 했다. 연구진은 합성나노항체23이 이렇게 변형된 렌티바이러스를 성공적으로 무력화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실제로 이 ... ...
숨은 에이즈 바이러스의 RNA 생성, 보균자 생명 단축한다
연합뉴스
l
2020.11.04
치료제는 HIV의 복제를 차단해 전염 위험을 거의 제로로 줄인다. 하지만 보균자의
유전
체에 숨어 있는 HIV DNA로부터 RNA가 생성되는 것까진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HIV 보균자에게 만성 염증을 몰고 오는 핵심 요인으로, ART를 써도 HIV의 RNA 생성을 차단하지 못하는 약효의 한계 ... ...
[백신 업데이트]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후보 10종…한 달째 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4종, 재조합 단백질을 주입하는 노바백스의 후보물질 1종(위 사진), 그리고 항원의
유전
물질(RNA)를 지질 주머니에 담아 주입하는 핵산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 모더나와 독일 바이오엔테크 및 화이자의 후보물질 2종이 있다. 임상 2상 또는 1/2상을 동시에 진행 중인 후보물질은 15종으로 집계됐다.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인류와 같은 영역성과 집단 공격 성향을 갖고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또 현생 인류와
유전
자가 99.7% 같은 네안데르탈인이 불을 사용하고 시체를 매장하는가 하면 조개껍데기나 동물 이빨로 장신구를 만들어 사용하는 등 놀랍도록 현생 인류와 행동이 닮았는데, 네안데르탈인이 현생 인류와 창조적 ... ...
인류 ISS 입성 20주년…무중력 실험 가능한 천상의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 분석했다. 쌍둥이는 전적으로 동일한 형질과 성별을 가져
유전
성 질병이나 질병과 환경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실험할 때보다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관련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건강상 뚜렷한 차이는 없지만 우주인 켈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유전
자까지 망가져 ‘흑백’의 세상에 살고 있다. 약 4000만 년 전 일부 영장류에서 LWS
유전
자 중복이 일어나 두 개가 됐고 그 가운데 하나에 변이가 생겨 민감한 파장대가 약간 짧아졌다. 이렇게 생겨난 게 MWS이고 그 결과 이들은 3색형 색각을 회복해 총천연색을 보게 됐다. 그 후손이 바로 우리다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