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뿌리는 이유 눈이 올 때는 좋은데 일단 쌓여서 얼면 빙판길이 걱정됩니다. 하지만 과학
원리
를 이용하면 빙판길도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는데요. 바로 소금이나 염화칼슘을 뿌려 눈을 녹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소금이나 염화칼슘을 뿌리면 왜 눈이 녹을까요? 액체에서 고체로, 또는 고체에서 액체로 ... ...
암세포 ‘에너지 공장’만 골라 죽이는 항암물질 개발
2014.12.23
DNA를 파괴하면 그 자리에 형광물질을 둬 외부에서 파괴된 암세포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원리
다. 김 교수는 “기존의 항암효과가 낮았던 약물의 항암효과를 극대화시켰다”며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해 사멸시키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항암제 합성기술을 개발한 ... ...
초스피드 노로바이러스 검출 키트 상용화 임박
2014.12.22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용액을 통과시키면 바이러스가 노로글루에 흡착되는
원리
를 이용했다. 이렇게 농축된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증폭한 뒤 유전자 칩에 담아 진단키트에 넣으면 즉시 감염 여부와 노로바이러스의 종류까지 출력된다. 2012년 식중독균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국내 피해액은 4000억 ... ...
남극 얼음 밑 신비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레이저를 쏴 지형도를 그릴 때 고도차가 생기는 곳에 빙저호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원리
를 이용했다. 움푹 들어간 지형 역시 빙저호 후보지다. 분석 결과 장보고기지를 중심으로 반경 400km 이내에는 빙저호가 5개 정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원은 “장보고기지에서 남서쪽으로 200km ... ...
양자컴퓨터의 핵심 ‘스핀방향’ 제어 실마리 찾아
2014.12.17
교수팀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나노 자성체의 스핀방향이 결정되는
원리
와 ‘혼돈(카오스) 현상’이라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자컴퓨터에서는 스핀방향에 따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연구진은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방사광 가속기 실험을 통해 이 방향이 어떻게 ... ...
[기자의 눈] ‘체면’과 과학 발전을 맞바꾼 대한민국
2014.12.16
관광자원 면에서 트램을 지지하고 있다. 이 방식도 최근 첨단기술이 여럿 나와 있지만
원리
적으로는 수십년 전부터 운행하던 노면 전철과 크게 다르지 않다. 대전시는 “대전이 관광도시로서 발전하는 데 큰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과학도시로서 대전의 가치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 ...
100만 분의 1초 존재했다 사라지는 화합물의 결정구조 밝혔다
2014.12.16
제조 공정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면서 “수퍼옥소의 구조와 작동
원리
를 이해하면 이들 화학반응을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설명한다. 인공 지능의 연구 과정과 주요한 성과를 소개하면서 인공 지능이 어떤
원리
와 접근법을 통해 연구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지능과 인공 지능을 비교하며 컴퓨터가 지능을 가진다는 것의 의미를 정리한다. 결국 이 책은 인공 지능 연구가 ‘위험한 불장난’이 ... ...
프라이팬과 휴대전화의 공통점은?
2014.12.12
않는 프라이팬에는 다니엘 셰흐트만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교수가 발견한 준결정의
원리
가 숨어 있다. 셰흐트만 교수는 이 공로로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거실로 옮겨가면 휴대전화가 눈에 들어온다. 트랜지스터와 발광다이오드(LED), 전자결합소자(CCD) 카메라 등이 집결된 휴대전화에는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있는 미세한 균열 사이의 거리가 진동에 의해 변하면 신경세포가 이를 감지해 알아채는
원리
다. 미래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인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을 이끄는 최만수 단장(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 김태일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거미의 미세 균열을 모사해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