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세로는 없고 가로로만 철봉 몇 개가 연결돼 있었는데, 그마저도 상당히 부식돼 제
힘
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였습니다. 이번엔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버팀재를 촘촘히 조립해 넣었어요. 300년은 끄떡 없겠죠?”그렇다고 철이 버팀재로 적합하지 못하다는 건 아니다. 철은 이온화 경향이 커서 주석과 ... ...
종이 파이프로 만든 예술작품 파이프로이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캐릭터마다 재미있는 스토리가 있다. 예를 들어 ‘로크스케와 하치’에서 로크스케는
힘
이 세고 남들에게 싸움 걸기 좋아하는 문제아지만, 그의 애견 하치에게는 항상 상냥하다. 그들의 독특한 사연을 들어보자. 종이로 할 수 있는 것들종이의 변신은 무죄! 종이로 할 수 있는 일은 생각보다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대신 기름의 압력을 이용해 관절을 움직이는 ‘유압식액추에이터’를 써서 움직입니다.
힘
이 세고 동작전환도 빠르지요. 하지만 유압을 공급하는 커다란 장치를 매고 다녀야 하는 것이 문제입니다.어떤 방식이 더 나은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아시모는 발바닥형 로봇이지만 자유자재로 방향을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흐르면 일정 길이만큼 종이가 접힌다. 종이 안쪽은 물론, 바깥쪽으로도 접을 수 있다. 접
힘
선마다 전류를 순서대로 흘려보내면 원하는 순서대로 종이로봇을 접을 수 있다. 연구팀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종이로봇이 어떤 순서로 접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전문가들은 이 원리를 응용해 기기를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아랍과 인도 등에서 사는 황말벌은 햇빛을 흡수해 에너지로 사용한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의 마리안 플로트킨 교수팀은 황말벌의 상피가 햇빛의 반사를 막고 산란시켜 최대한 빛을 흡수한 뒤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발견해 독일의 ‘자연과학’지 최근호에 발표했 ... ...
당신의 마음을 환기시키세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마음을 정리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심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것이 바로 털어놓기의
힘
이다.] 마음의 병 일으키는 과거의 기억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문제에 직면할 때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머릿속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생긴 감정을 남들이 이해해 주기를 바라기 ... ...
하늘을 나는 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움직이면서 중력 작용을 줄이는 거지요. 미끄러지면서 몸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데, 그
힘
이 제 몸무게보다 크기 때문에 하늘을 날듯이 이동할 수 있어요. 과학자들은 제 몸이 하나의 날개라고 말할 정도랍니다. 제가 하늘을 나는 비밀을 이용해 새로운 모양의 비행기구도 만들 계획이라고 해요.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요. 2008년 8월에는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천완기 교수팀이
힘
을 받으면 전기를 만드는 압전 소재로 나뭇잎을 만들었어요. 이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리며 전기를 만드는 것도 성공했답니다. 에너지를 만드는 크리스마스 트리, 먼 이야기가 아니죠? 기분에 따라 바뀌는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화석 연구가 이어져 왔다. 2009년 네이처에 소개된 날개가 넷 달린 공룡 화석도 이 흐름에
힘
을 보탰다. 중국 동북구 랴오닝성에서 발견한 ‘안치오르니스 헉슬리’ 화석으로, 이 공룡은 긴 깃털이 손과 발, 꼬리를 덮어 총 네 개의 날개가 달린 것처럼 보인다. 몸길이는 50㎝정도로 닭과 비슷해, 작은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움직일 때 몸에 닿는 저항력도 커. 우리가 보통 길을 걸을 때보다 물 속에서 움직일 때 더
힘
이 든다고 느끼는 이유지.바다 생물들의 생김새를 떠올려 봐. 뒤쪽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곡선 형태에 표면도 매끄럽지? 물의 저항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이런 모양을 하게 된 거란다. 게다가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