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환자들이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고 말했다.영화 ‘페이첵’에서는 뇌의 특정 신경
세포
를 제거해 기억을 지우는 장면이 나온다. 강원대 심리학과 강은주 교수는 “기억은 한군데가 아니라 뇌의 여러 부분에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돼 있다”며 “컴퓨터처럼 뇌의 특정 부위를 제거해 특정 정보를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약을 테스트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연구이며 복제된 줄기
세포
를 인체에 넣어 신경 기능을 재생하는 치료기술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영국 정부가 이 연구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전했다.이에 대해 황 교수는 “공동 연구에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시냅스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면 신경
세포
의 잔가지들이 빠르게 사라지며 이미 만들어진 시냅스 중 부실한 것들은 추려내고 쓸만한 것들만 더욱 안정화시키는 일만 남는다. 더 시간이 지나 이런 상황이 상당히 진행됐을 때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온다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여러 유전자의 발현과 단백질 합성을 통해 일어난다. 군소 민감화 학습에서는
세포
내에서 인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효소인 카이네이즈가 관여한다고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카이네이즈 중 PKA가 유전자 전사인자인 CREB을 인산화시키고, 인산화된 CREB이 여러 유전자들을 다시 활성화시켜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화면을 구성했다.대뇌의 시각피질에는 특정한 방향의 선에 선별적으로 반응하는 신경
세포
(뉴런)가 있다. 이 뉴런들이 시각정보를 종합해 형태를 구성한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이 뉴런은 몬드리안 등의 그림을 볼 때 가장 활발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저자는 우리가 미술작품을 즐기는 이유는 ... ...
난독증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변이가 있을 확률이 높았다.아직까지 이 유전자의 역할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세포
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윌리엄스 교수는 “뇌의 발달에서 이 유전자가 하는 역할이 완전히 규명되면 난독증을 치료하는 방법뿐 아니라 뇌가 어떻게 언어를 처리하는가에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굴했다. YCF1은 식물이 중금속을 흡수하면 이 중금속을 액포 등
세포
내에 상대적으로 해가 적은 곳에 축적한다. 이 교수는 “효모에서 YCF1을 얻은 후 이를 애기장대에 넣었더니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식물의 몸 안에 있어도 해를 끼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교수의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수 있다. 산호와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사는 충조류(zooxanthellae) 때문이다. 충조류는 단
세포
조류(藻類)의 일종으로 다른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며, 영양물질과 산소를 만들어 산호에게 제공한다. 한편 충조류는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와 영양염류, 그리고 안전한 서식처를 산호로부터 얻을 수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3차원 입체 정보도 포함시켜 대상을 인식한다. 실제로 뇌의 시각경로에 있는 신경
세포
들은 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에서는 좁은 시각 영역에서 수평선이나 수직선 같이 단순한 선분의 방향에 대해서만 반응하다가 처리 단계가 진행될수록 더 넓은 시각 영역에서 점점 더 복잡한 모양에 반응한다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들은 여전히 푸코스로 만든 코팅을 유지했다. 자신이 못 만들 경우 숙주의 내장
세포
에서 푸코스를 훔쳐와 치장을 한 것이다.그러나 푸코스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마저 없애자 이들은 대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 연구자들은“세균이 숙주와 공생하는데 당분자를 이용한 위장이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