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차로 신호 체계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될 수 있다. 잘 보면 연구할 만한 소재들이 널려있다.일상 속에서의 주제 선정대수학
분야
나 기하학 등의 영역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 대부분이 순수 수학에 대해 포트폴리오를 만드려고 노력한다. 물론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여러 가지 수학 이론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작성할 수 있는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젬병일 것이다. 빠른 계산이 필요한
분야
에는 컴퓨터가, 패턴 인식처럼 사람이 잘하는
분야
에서는 인공 뇌가 활약하는 식으로 서로 보완할 가능성이 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Part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어 안전성이 훨씬 높아진다.소형 원전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분야
다. 세계 최초로 중소형 원전을 개발해 표준설계 인허가까지 마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스마트(SMART)’다. 표준형 원전의 10분의 1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며(전기 외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잡았다. 향후 독보적인 업적을 거둘 것은 물론 우리나라가 이
분야
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진단과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정 센터장은 “우리나라는 아직 외국에 비해 이
분야
에 대한 지원이나 제반 상황이 떨어지는 실정”이라며 “나노 프로브 같은 원천소재를 개발하면 바이오이미징 기술을 높일 뿐 아니라 제약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때문이다.“사실 지난해 외국의 한 블로그에서 노벨화학상을 예측했는데 제올라이트
분야
에서 제 이름이 언급되더군요. 뜻밖이었지만 솔직히 자극이 됐습니다. 게다가 철회된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논문 말고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주도한 연구 결과가 ‘10대 과학성과’로 뽑힌 건 처음 아닙니까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알려져 있던 질병 발병의 비밀을 밝히기로 결심한다.유전학은 단순히 생물학의 한
분야
가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복잡한 데이터과학이다. 그래서 많은 유전학자들은 동시에 유능한 데이터 분석가이기도 하다. 자료를 효율적으로 비교해 새로운 특징을 밝혀낸다. 많은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9.5%가 인터넷 중독 상태로 평가됐다. 지능 검사를 한 결과 이해력
분야
에서 중독 청소년은 9.92점으로 일반 청소년의 11.65점보다 낮았다. 이해력은 윤리, 도덕적 판단력과 관련이 크다.청소년기의 뇌 발달이 어떤 경로를 따라 이뤄졌는가는 그 사람의 나머지 삶에 결정적인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에너지를 발휘하고 있다. 때로는 노래를 발표하기도 하지만 이들이 진정으로 활약하는
분야
는 바로 ‘예능’이 아닐까? 핑클 성유리, god 윤계상성유리와 윤계상은 드라마와 시트콤에서 맹활약 중이다. 모두 핑클과 god라는 아이돌 그룹의 멤버였다. 그룹 활동 이후 두 사람은 연기자의 길을 걸었다.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훌쩍 넘어 지금까지도 작동하는 스위프트는 매주 두 개꼴로 감마선폭발을 발견하며 이
분야
의 관측데이터를 ‘폭발’적으로 축적시켰다. 또 스위프트와 연계된 지상의 망원경(자외선과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 관측)은 감마선폭발의 후광을 관측했다.앞에서 언급한 감마선폭발은 GRB 080319B로 불린다.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