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된다는 의미에서 연구학원 도시의 서부지역 중심부에 자리잡도록 하였다. 1972년 6월 미국
국립
표준국(NBS)의 조사단을 초청하여 국가표준제도의 현대화와 연구기관 설치를 검토하게 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이낙선 상공부차관을 찾아가 표준연구소 건립을 강력하게 권유하였다. 당시만 해도 아직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하여 전세계의 해양에서 연구조사를 수행할 수 있게 설계, 건조되었으며 국내외의
국립
해양연구기관이나 대학 등과 협력하여 국가주도연구는 물론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할 다목적 연구조사선 이다.특히 조사선의 건조비와 맞먹을 정도인 1백3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해양첨단장비들은 최근의 컴퓨터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생태적 재해가 일어나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1919년 그랜드 캐년 중심부의 2천6백㎢가
국립
공원으로 지정됐다. 근래에는 해마다 1천5백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적인 명소가 되었다. 이곳에서는 뗏목 자동차 비행기가 관광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노새를 타고 천천히 경치를 즐기는 관광이 ... ...
엑슨 발데즈 원유유출사건 그 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50㎢의 면적으로 퍼졌고, 그 후 한달동안이나 기름띠가 해역에서 발견됐다. 12개의 해양
국립
공원이 있는 이곳 알래스카의 약 2백㎞의 해안이 기름으로 뒤덮였다. 90여종의 바다새가 30만 마리나 죽었고, 1천여마리의 수달이 기름범벅이 되어 죽어갔다. 자원봉사자들이 몰려들어 기름에 오염된 새들과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연구원들이 미국 알곤
국립
연구소에서 훈련받은 바도 있고 해서 원자력 연구소와 알곤
국립
연구소와의 자매결연을 추진하게 되었고 마침내 65년 3월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일하다 죽도록 해주십시오"원자력 연구의 국제 협력에 힘을 기울이는 한편 나는 연구분위기 조성에도 다시 힘을 기울였다. ... ...
영국에 「무공해 녹색마을」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실제로 가동시키고 있다. CAT에서는 현재 모든 전력을 자체생산하고 있는데 장차는 영국
국립
송전시스템에 여분의 전기를 팔 계획이다.이곳에서 펴낸 작은 책자조차도 이미 사용됐던 종이를 재순환시켜 만든 종이로 제작한 것이다. 그 첫머리에는 아프리카 케냐의 속담 한 구절이 나온다. "지구를 잘 ... ...
꿈,뇌간서 전기신호로 발생한 영상과 감정의 뒤범벅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상에만 연결되어 있고, 렘수면을 가져오는 뇌수의 신경파 전달을 돕는다는 것이다.
국립
과학학회지에 실릴 기사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의 피터 레이너 박사는 깨어있는 것을 조절하는 수면억제신경세포의 일부가 수면증진신경세포에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최초로 보고했고, 그에따라 이 ... ...
'과학'도 거짓말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데서 찾을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최근 전국민적인 의혹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국립
과학수사연구소(이하 국과수)의 허위감정 의혹사건은 그런 의미에서 과학의 한계가 무엇이며 과학이 맹신이 될 때 어떤 파국이 올 수 있는지를 보여준 한 예라 할 수 있다.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인물.이 계획은 미국의
국립
항공우주국(NASA)과 유리 가가린 우주인양성센터 그리고 미국
국립
해양 및 대기국(NOAA)이 후원하고 있는데, 약2주에 걸쳐 세계의 하늘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변화무쌍한 날씨와 바람이 모든 계획을 차질없이 끝내도록 허용할지는 의문이다.발진시기는 특별히 낮밤을 ... ...
걸프전 환경영향 진상 밝히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않았다는 데는 이론(異論)이 없다. 그러나 아시아에도 영향이 없었을까.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기상학자 토머스 설리번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전화재 연기의 이동로를 추적했다. 그 결과 그는 작년 4월 방글라데시를 강타해 1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태풍 속에 이 연기의 상당부분이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