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1초일 수도 있다. 앞에 있는 9명의 사람이 모두 1만 원씩을 꺼내 동시에 한 번만 전달하면
결국
맨 뒤의 사람만 그 돈을 받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1만 원짜리 지폐들이 모두 동등하다는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는 이와 비슷한 현상이 광합성에서도 일어남을 밝혔다. 한 색소가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구름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입자들끼리 충돌해 입자가 커질 확률도 낮아진다.
결국
구름 입자는 강수 입자로 성장하지 못하고 계속 상공에 떠 있게 된다. 비가 오지 않고 구름만 계속해서 떠 있게 되는 셈이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이 작성한 4차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80 %가 전단지를 떼어내 아무 데나 버렸지만 조용한 환경에서는 절반 정도만 그랬다.
결국
개인에 따라 일관성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도덕성이나 윤리의식도 사소한 환경변화에 크게 씁향을 받는 셈이다. 연구자들은 지난해 12 월 8일자 ‘사이언스 ’에 실린 논문에서 “단지 낙서가 있을 뿐인데도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영양가가 떨어진 조류가 물벼룩과 같은 1차 소비자를 부실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
엔 먹이 사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물벼룩을 잡아먹은 작은 물고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은 큰 물고기가 모두 부실 체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을 섭취하는 사람도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쥐에서 실험한 결과이기 때문에 인체에서도 같은 효과를 낸다고 단정 짓기는 이르다.
결국
나노입자를 이용해 암세포를 진단하고 동시에 제거까지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아직까지는 이론인 셈이다.현 교수는 “이 같은 이유로 나노입자로 항암 치료를 할 수 있는 날이 오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것은 ... ...
[생물]유전법칙의 기본, 멘델부터 모건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수컷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수컷은 염색체가 한 개 뿐이고 암컷은 두 개였다.
결국
모건은 돌연변이 유전자를 염색체 한 개에 대응시켜 서턴-보베리의 이론을 입증한 것이다. 모건은 초파리의 연구를 통해 서로 연관된 유전자에 대해 알아냈으며, 유전자의 교차현상을 관찰하며 유전자의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거잖아? 난 토라져 고개를 획 돌려 버렸지만, 호기심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지 뭐야.
결국
잠시 후 나는 아빠의 휴대전화를 빼앗아 신나게 갖고 놀고 있었단다. 참 신기했어. 손가락으로 화면 속 메뉴만 건드리면 마치 마술처럼 척척 알아서 작동했거든. 도대체 이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는 걸까 ...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세우려고 결정했을 때 찾아왔다. 이를 막기 위해 각지에서 움직임이 일어났고
결국
알다브라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보전에 성공한 사례가 됐다. 오늘날 이 섬의 출입은 엄격히 통제되고 있으며 외지에서 유입된 고양이와 염소도 거의 퇴치했다. 그 결과 거북뿐 아니라 다른 두 종의 중요한 ... ...
과학으로 다시 본 화왕산 억새태우기 참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풍년이 오고 재앙이 물러간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열렸던 화왕산 억새태우기 축제가
결국
재앙을 가져왔다. 하지만 산불의 특성을 잘 알고 당시 기상 상황을 고려해 행사를 준비했다면 적어도 이런 끔찍한 참사는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 ...
사상 최초의 우주충돌사고 긴급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아무런 문제없이 자신의 궤도를 돌다가 이날 시베리아 상공에서 궤도가 정확히 겹쳤다.
결국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던 코스모스 2251호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비행하던 이리듐 33호의 왼쪽 측면을 들이받는 사고가 일어났다. 미국우주감시망(SSN)은 이때 충돌 속도가 무려 초속 11.7km였으며 이리듐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