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블루
blue
블루우
스페셜
"
파란색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DNA 접힘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9
CTCF와 코헤신 간 상호작용을 시각화했다. 표지 속에서 분홍색으로 표시된 것이 CTCF,
파란색
으로 표시된 것이 코헤신이다. 연구팀은 “상호작용을 시각화한 결과, CTCF가 코헤신에 의한 DNA 접힘을 차단했다”며 “차단 뿐 아니라 접히는 방향까지 바꾸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TCF와 코헤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식물은 캡사이시노이드(보라색)를, 가지속(Solanum) 식물은 스테로이드 글리코알칼로이드(
파란색
) 생합성 경로를 진화시켰다. 천연물 리포츠 제공 ● 감자가 녹색을 띠면 먹지 말아야 가지과(Solanaceae) 식물에는 중요한 작물이 여럿 들어있다. 식용작물로는 가지와 토마토, 감자, 고추가 있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126개국 해안 덮어버린 해조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3.11
해안에서 번성한 해조류를 표지로 실었다. 급격히 늘어난 해조류 때문에 초록색과
파란색
물감이 서로 뒤섞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해조류는 바닷속 유기체들에 음식과 영양분을 제공하지만 심각한 환경문제도 일으킬 수 있다. 기온 상승으로 과다 번식이 일어나면 해안으로 밀려와 경관을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제임스웹의 후속 우주망원경들
과학동아
l
2022.07.12
달려있어 허블보다 100배 더 넓은 시야로 더 많은 하늘을 관측할 수 있다. 사진은 WFIRST(
파란색
영역)와 허블우주망원경(빨간색 영역)이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을 각각 나타냈다. NASA제공 WFIRST는 2025년 발사가 예정돼 있다가 코로나19로 2027년 5월로 연기됐다. NASA는 또 이 차세대 광역적외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주개에서 아미노산 부분은
파란색
으로 표시했다. 주개와 받개가 접근하며(굵은
파란색
과 빨간색) 주개의 아미노산과 받개의 펩타이드가 화학반응으로 결합해 펩타이드가 길어지고 주개에 결합된 아미노산이 끊어진다. 그 뒤 주개가 떨어져 나간 받개는 아미노산을 지닌 새로운 주개와 위의 반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일 꼬불꼬불한 것들이 복잡하게 얽히고 설켜 있는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노란색과 흰색,
파란색
등 색도 다양하다. 이 정체불명의 물체는 바로 ‘핵막공복합체’다. 하나의 핵에는 수천 개의 핵막공이 있다. 핵막공은 세포질과 핵질 사이 물 분자를 통과시키는 통로다.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 ...
게임도 과학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06.04
변하는 게임 세계를 만들어냈다. 소니가 개발한 AI ‘GT소피’가 지나간 길(빨간색·
파란색
)과 인간 플레이어가 지나간 길(흰색·회색). GT소피가 더 효율적인 경로를 골라 인간 플레이어를 앞질렀다. 네이처 제공 ○ 인터뷰 "라이엇 게임즈가 데이터로 답한다" 하성민 라이엇 게임즈 데이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공룡의 피는 따뜻했을까
2022.05.31
도 모두 내온성 동물이었다. 한편 조반류의 일부는 외온성 동물인 것으로 드러났다. 선의
파란색
이 짙을수록 대사율이 낮고 빨간색이 짙을수록 대사율이 높다. 분석한 시료에 따라 내온성은 노란 동그라미로 이차(내온성에서 진화) 외온성은 파란 동그라미로 표시했다. 네이처 제공 ※ 필자소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분 좋은 터치의 비밀
2022.05.03
입증했다) 정서 촉각 정보는 뇌로 전달되지 않은 것이다. PROKR2 뉴런을 없앤 생쥐(
파란색
네모)는 정상 생쥐(회색 네모)에게 털 손질을 해주지 않고 자신도 정상 쥐 사이의 절반 정도밖에 받지 못한다. 한편 프로키네티신2를 못 만드는 생쥐(주황색 네모)는 털 손질을 해주지 않을뿐 아니라 자신도 전혀 ... ...
중생대 하늘의 지배자, 깃털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털이 발견됐다. 아일랜드 코크대 제공 백악기까지 하늘의 지배자였던 익룡이 붉은 색과
파란색
의 깃털을 갖고 있었다는 증거가 나왔다. 비행을 위한 것은 아니고 체온 조절이나 서로 의사소통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의 오랜 논란이던 익룡의 깃털 존재 유무가 마침내 종지부를 찍었다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