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량
측량법
구적법
측량
스페셜
"
측정법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화석 속에서 미토콘드리아 DNA를 추출한 뒤 해독해 종을 파악했다. 방사성탄소동위원소
측정법
으로 지층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화석의 생존 연대까지 측정했다. 그 결과 화석의 주인공이 기존 추정보다 최소 수천 년 앞선 약 4만3650~4만6940년 전에 살던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라는 사실을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파악했다. 여기에 질량분석기로 동위원소비를 측정하는 방법과, 방사성탄소동위원소
측정법
으로 지층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화석의 생존 연대까지 측정했다. 그 결과 화석의 주인공이 약 4만3650~4만6940년 전에 살던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라는 사실을 밝혔다. 현생인류가 유럽에 처음 진출한 ... ...
경도 인지장애 환자 치매 가능성 혈액 검사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연구진은 후보 단백질 중 최종적으로 4종류의 바이오마커 물질을 효소 면역
측정법
을 통해 확인했다. 그런 뒤 경도 인지장애 환자군의 혈액 내 4종류 단백질 농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토대로 환자들의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예측하고 PET 촬영 데이터와 비교해 본 결과 예측 ... ...
중세 유럽 암흑기에도 여성은 예술혼을 불태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유골들의 식단과 입속 미생물을 조사하던 중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법
을 통해 997년에서 1162년 사이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 45~60살 여성 유골의 치석을 조사하던 중 파란 입자를 찾은 것이다. 연구팀은 라만분광분석과 에너지분산형분광분석(SEM-EDS)을 통해 이 입자가 희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메커니즘으로는 방사성 원소의 붕괴가 있다. 고고학 분야에서 쓰이는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법
은 방사성동위원소인 탄소14의 베타붕괴를 이용한다. 즉 불안정한 탄소14의 중성자(n) 하나가 양성자(p+)와 전자(e-)로 붕괴되면서 안정한 질소14로 바뀐다. 전자의 별칭이 베타입자이므로 이 과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점 있었는데, 연구자들은 6번 층의 시료 8점, 7번 층의 시료 6점을 대상으로 열발광연대
측정법
을 써서 연대를 측정했다. 광물이나 토기 같은 물질의 결정에는 결함이 존재하는데 주위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나오는 방사선을 흡수해 불안정해진 결정의 전자가 결함에 포획된다. 따라서 시간이 ... ...
건강검진기에 담긴 과학원리
KISTI
l
2015.10.02
반응해 색이 변하게 되면, 여기에 빛을 쪼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반면에 전기화학
측정법
은 포도당이 효소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자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전자를 전달해주는 매개체를 이용해 전극으로 전달할 때, 여기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 혈당의 양을 파악한다. 내 몸의 상태를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연구단 ⓒ김상현 2009년에는 광학이성질체의 분자 구조, 즉 키랄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측정법
을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자연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분자, 인체 속 분자는 일정한 입체성을 띠는 구조인 키랄 구조(왼손과 오른손처럼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를 갖는데, 이런 입체구조는 굉장히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2.19
동물의 뼈나 화석에서 연대를 측정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법
이다. 방사성 물질이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드는 반감기를 이용해 뼈나 화석에 남아 있는 방사성탄소의 양으로 나이를 알아내는 것이다. 다른 방법과 비교해 오차가 적고 분석 시간도 짧다. 하지만 흙이나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고고학자 탐 하이엄 교수는 고고학이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탄소연대
측정법
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 왔다. 즉 시료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게 아니기 때문에 미생물이나 유기물질 같은 후대의 탄소함유 물질이 침투할 경우 추정 시기가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