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참석"(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개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과학평의회 중기회의와 연례총회의 과학위원회 참석비용, 각종 과학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과학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북태평양 해양연구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일례로 2017년에는 PICES와 ICES, 그리고 ... ...
- 동북아시아 3국의 원자력 안전 협력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27
- 의견을 교환하는 장이었다. 이는 2008년 9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 참석한 기구의 면면을 보아도 잘 드러난다. 첫 회의에는 한국의 교육과학기술부와 원자력안전기술원, 일본의 원자력안전보안원, 원자력안전기반기구, 중국의 국가핵안전국과 원자력및방사선안전센터가 각각 참여하여 ... ...
- 원자력에너지 분야에서의 러시아 도약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27
- 공청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기도 한다. 또 인터넷으로 회의 영상을 제공해 공청회에 참석할 수 없는 사람들도 내용을 알 수 있게 한다. 또 공론화를 담당하는 로사톰의 커뮤니케이션팀은 회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러시아 원자력 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 ...
- Post 2020, 미래 에너지를 준비하는 논의의 장 열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11
-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좌담회도 개최됐다. 좌담회에는 심준섭 교수를 제외한 9명이 참석하고 김호성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에 어떤 의견을 갖고 있는지 듣고, 민간 전문가 그룹으로서 미래포럼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들어봤다. ... ...
- 원전, 사람들 속에서 함께 소통해야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원자력에너지협회 부회장, 미미 림벅(Mimi Limbach) 태평양원자력협의회 회장이 패널로 참석하고 민계홍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상근부회장이 좌장을 맡았다. 통일을 대비한 에너지 자립이 시급한 지금, 해외 원자력 전문가들의 조언을 들어본다. 이 날의 좌담회는 매일경제 2015년 4월29일자 기사로도 ... ...
- 생각은 다르지만 방향은 같은 한국, 일본 양국의 원자력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일본, 중국 등을 비롯한 전 세계 원자력전문가 600여 명이 참석하였다. 원전을 수출할 만큼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쌓아 올린 한국 원자력계가 함께 할 30년의 화두로 ‘공감’을 꼽은 이유는 무엇일까? 주요 참가 인사들의 말을 통해 공감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왜 ... ...
-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을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탄력을 더하고 있다. 얼마 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아톰엑스포-2015 총회’에 참석한 47개국 에너지 전문가들은 ‘원자력이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 경제성, 에너지 안보 등 다양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 국가 에너지 전략의 중심’이라는데 중지를 모았다. 안전성이 ... ...
- 41년만의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연구자율권, 원전 선진화 기반 전기 마련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김학노 한국원자력연구원 전략사업부원장, 이희용 한국전력 원전수출본부 본부장이 참석했다. 원자력 연구 자율권 확보 김호성 이사장(이하 사회) 원자력은 온실가스 감축과 전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지만 사용후핵연료 처리가 문제다. 2016년 고리원전을 시작으로 국내 저장시설이 포화될 ... ...
- 호혜적 동반자 관계를 향한 큰 걸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23
-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한국의 외교부차관과 미국의 에너지부 부장관이 공동 의장으로 참석하며, 사용후핵연료 관리, 원전연료의 안정적 공급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하여 사실상 원자력과 관련된 모든 사안에 대해 상시 협의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 것이다. 개정된 협정은 많은 부분에서 ...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9
- ’ 이날 토론회에는 각계 전문가(정부, 언론, 환경단체 등)와 시민들이 다양하게 참석했다. 우리나라는 산업 및 생활 전반에 사용되는 전체 에너지 중 약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수급 문제는 경제적 문제일 뿐만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원자력발전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