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착각"(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2024.07.13
- 생각하게 된 것은 아닌지 따져 봐야 할 것 같다. 내가 나라고 생각했던 모든 것들이 다 착각일지도 모른다. Vonasch, A. J., & Tookey, B. A. (2024). Self-serving bias in moral character evalu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12, 104580. https://doi.org/10.1016/j.jesp.2023.104580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2024.06.19
-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쉽고 재미있는 것'만을 가르치면 학습 부담이 줄어든다는 기대는 착각일 뿐이다. 제대로 된 문장보다 그래픽과 사진이 넘쳐나는 어설픈 '과학' 교과서도 바로 잡아야 한다. 수명을 다해버린 수능도 개편해야 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2024.05.22
- 어설픈 '과학적 근거'로 밀어붙이는 섣부른 '의료 개혁'은 정부의 헌법적 권한이라는 착각에서 깨어나야 한다. 보건복지부의 여론조사는 믿을 것이 아니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2023.12.06
- 전용기를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보내서 요소수를 실어 오는 황당한 일이 벌어진 것도 그런 착각 때문이었다. 요소수가 떨어졌다고 경유 차량을 무작정 세워둘 이유도 없다. 요소수 탱크에 생수를 넣으면 된다. 물론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긴급 처방이다. 요소수를 사용하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2023.12.02
- 흐리는 일 없이 일은 일로, 사적인 영역은 사적인 채로 간직할 수 있어서 괜히 혼자 착각하고 상처 입거나 서운해 하는 일도 많이 줄어들었다. 미국 콜롬비아대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프로스트의 연구에 의하면 실제로 관계에서 얻길 바라는 이상적인 친밀도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 또한 이 선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2023.11.18
- 나타난다고 한다. 특히 어떤 정보가 다소 쉬운 형태로 전달이 되면 뭔가 배운 것 같다는 착각을 크게 한다. 같은 정보를 좀 더 명료한 폰트에 큰 글자 사이즈, 다양한 색상, 다양한 사진과 이미지 등을 이용해서 전달하면 그러지 않았을 때에 비해 사람들은 자신이 더 많은 정보를 얻었고 따라서 더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2023.11.08
- 만들어주는 대신 과학자를 감시하고 견제‧관리하는 역할을 과학기술 정책이라고 착각하는 선무당급 전문가도 활개를 치고 있다. 과학자들이 정신을 차려야 한다.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보조금’ 지원사업을 연구개발 사업에 은근슬쩍 끼워 넣어 ‘연구개발 브로커’의 배를 채워주고 그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2023.09.27
- 과학자가 더 효율적으로, 더 열심히 일하도록 채찍질하는 것을 과학기술정책이라고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과학자의 ‘창의력’은 상당한 수준의 비효율과 방종(放縱)을 허용하는 환경에서만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성실한 실패를 용인한다’는 것이 바로 그런 뜻이다.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2023.09.06
- 에너지가 들어갈 것이라고 판단해 심혈관계가 준비한다. 실제 의족을 한 사람들은 뇌의 착각으로 심혈관계가 무리한 결과 건강이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득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체화의 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술에 취해 정신을 잃은 친구를 업으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2023.07.12
- 혀의 미뢰에 있는 단맛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받은 뇌의 미각피질이 ‘달다’고 착각하게 만들어 비만과 당뇨 위험성을 높이는 설탕 섭취를 줄여주므로 오히려 건강에 좋을 것 같은데 뜻밖이다. 이런 부작용의 생리 메커니즘을 아직 잘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배경에는 단맛 정보 교란이 자리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