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목
선정
약속
지시
예정
예약
표시
스페셜
"
지정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이름을 올려줬다. 무렐라 써모아세티쿰의 게놈 크기는 약 260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유전자는 약 2500개로 밝혀졌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게놈 크기와 유전자 수 모두 이번에 제안된 루카의 범위에 들어간다. 참고로 대장균은 각각 460만 염기와 4200개이고 상용화된 설비에 쓰이는 아세토젠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당시에는 오늘날 전자책(e-book) 수준의 어설픈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했었다. 시범학교를
지정
해서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아무도 반겨주지 않았던 디지털 교과서는 정권과 함께 학교 현장에서 사라져 버렸다. 그렇다고 디지털 교과서의 꿈을 포기할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경쟁이 안 될 것 같았다. 최근 개체 수가 많이 늘어난 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
한 이유를 알 것 같다. 새삼 안양천의 놀라운 수질개선을 얘기하는 건 요즘 읽고 있는 책 'Not the End of the World'의 내용에 공감해서이다. '세상의 종말이 아니다'라는 제목과 '우리는 어떻게 지속가능한 행성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제고 방안'이 기초학력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책임교육학년'
지정
이나 학업성취도 자율 평가 전수 실시는 잘못된 처방이다. 자율형 사립고를 비롯한 고교 유형 다양화도 이미 실패가 확인된 낡은 정책이다. 교육부가 내년부터 밀어붙이겠다고 호기를 부리고 있는 'AI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부, 2024년도 과학기술유공자
지정
착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단체장이 할 수 있다. 발굴·공모된 후보자는 3단계 심사와 공개 검증 등을 거쳐 연말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17개 시‧도와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제4회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안건에 상정된 '제6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분석한 결과 당알코올인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을 만드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지정
하는 MIPS1 유전자가 고장난 상태였다. 그 결과 미오이노시톨이 얼마 만들어지지 않아 잎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 것이다. 미오이노시톨은 세포 분열과 성장, 활력 유지에 필요한 신호분자와 비타민, 세포막 성분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불가능하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일이다. 과기계의 숙원이었던 공공기관
지정
해제가 새로운 불안 요소로 등장하고 있는 것도 걱정스럽다.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벽 허물기’가 혹시라도 ‘출연연 통폐합’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학간 벽 허물기를 핑계로 통폐합을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국제 공동연구 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사업의 구매대상이 된다. 과기정통부는 작년말 기준 총 85개 제품에 대해 혁신제품으로
지정
한 바 있다. ■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태국전력청(EGAT)이 추진하는 대형 시험소 설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2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EGAT은 태국 전력 사용량의 33% 규모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있는 토양환경보전법에도 문제가 있다. 환경부가 2002년 ‘불소’를 토양오염 물질로
지정
한 진짜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토양에 들어있는 불소는 화학적 반응성을 걱정할 이유가 없는 상태다. 환경부가 규제해야 하는 것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자연 유래 불소가 아니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심지어 양력 1월 1일을 ‘설날’이라고 부르는 북한도 1989년부터 음력설을 공휴일로
지정
했다. 그렇다고 모든 나라가 양력이나 음력 1월 1일을 새해의 시작으로 여기는 것은 아니다. 전통이나 종교적 이유로 자신들만의 고유한 설날을 즐기는 국가나 민족도 많다. 유태인은 늦여름이나 이른 가을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