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분
계급
자리
처지
위치
장소
경우
스페셜
"
지위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발명의 날에 '대통령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이로인한 수입액도 118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또 공공기관 중 세계 최다 가입 기관의
지위
도 유지중이다. 아울러 'IPR Factory' 구축을 위한 ‘1-1-1 운동’을 통해서 연구원 1인이 1년에 세계적인 혁신 아이디어 1건을 창출토록 독려도 하고 있다. 또 ITU, ISO, IEEE 등 국제 표준화 단체와 연계한 표준특허 ... ...
타자기의 발명, 여성을 일터로 이끌다
KOITA
l
2013.05.08
인구가 급감하고 여성 노동력이 절실해진 2차대전 이후에 이르러서야 여성의 사회적
지위
가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타자기가 여성의 기계로서 한 세기를 풍미하고 여성을 일터로 이끌었음에도 여성의 일과 남성의 일에 대한 고정관념은 여전히 존재한다. 당장 앞서 언급한 ... ...
전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나노선(線) 프린팅 기술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Electronics) 등’ 유연 전자소자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
지위
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 논문명: Large-Scale Organic Nanowire Lithography and Electronics ** 인터넷주소: http://www.nature.com/ncomms/journal/v4/n4/full/ncomms2785 ... ...
게임 산업과 아타리 쇼크
KOITA
l
2013.05.03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가 나오기 전까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독점에 가까운
지위
를 얻고 절대권력을 누릴 수 있었다. 이 때 얻은 시장장악력을 바탕으로 일본은 게임대국으로 승승장구할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타리 쇼크는 게임 시장에서 기술 이상으로 콘텐츠가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연구조직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보장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술의 독점적
지위
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특허 관리를 통해 경쟁자를 물리쳤다. 요컨대 퀄컴은 기술적 우위를 어떻게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범답안을 보여준 셈이다. 이 과정에서 ETRI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한국 시장이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판화(版畵) 인쇄의 공동 사업자로 인쇄에 투신한다. 보석 세공직이었던 구텐베르크는
지위
가 높은 승려와 돈 많은 영주들이 사는 곳을 자주 드나들었기 때문에 인쇄사업자로서는 다소 유리했다. 특히 당시에 도서관은 지식의 원천이었으므로 성당 도서관을 자주 들를 수 있었다는 것은 그가 성공의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중요하다는 말이다. 그는 “창조적이고 지적 호기심이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사회적
지위
나 보수만 높다고 만족하지 않는다”며 “각자의 취향과 소신에 따라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마련되면 생명공학과 의료의 선진화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학문적 결과를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구도인 셈이다. “BT가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게 하는 HT에서 꾸준히 중심
지위
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우리나라 미래의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것입니다.” 선경 교수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연구, 기술 위주보다 목적 위주로 재편해야 △ 과학자와 의사, 소통 위한 안팎의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대전 뿐 아니라 한국 전체 연구원 수가 줄고 있는 현실도 무시하지 못한다. 힘들고
지위
조차 불안정한 연구원을 꺼려하는 학생의 수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 연구에 꿈이 있는 학생은 유학을 먼저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 하지만 학생들이 무조건 유학을 떠나는 것은 막고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