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치
관리
통제
감독
권력
통어
우위
스페셜
"
지배
"(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나 2세기에 로마에서 활약했고 중세의학을
지배
했다는 평가를 듣는 갈레노스(Claudius Galenos, Galen)가 수술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의학을 계승한 이들은 주로 약을 사용하는 내과의사 역할을 했다. 오늘날 임상의학을 크게 내과와 외과로 구분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일확천금을 꿈꾸는 도박꾼에게나 유용한 개념인 확률에서 시작됐다. 도박이 확률에 의해
지배
된다는 사실을 처음 인식했던 사람은 로마의 마르쿠스 키케로였다. 확률을 뜻하는 '프로발리스(probalis)'를 처음 사용한 사람도 키케로였다. 그러나 고대 사회에서 신의 섭리(攝理)를 부정하는 확률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에서 ‘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어느 한 시대 사람들이 가진 견해나 사고를
지배
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을 가리키는 이 용어는 쿤도 초판에서 명확히 정의를 하지 못했다. 그러나 1970년에 발행된 개정판에서 ‘페러다임’의 의미를 더 명확히 했다. 과학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생각하는지에 대해 물었을 때는 자격의식이 높은 이들은 다른 사람들 위에 올라서려는
지배
욕구는 높으나 실제로 그럴 만큼 실력이나 인간성이 좋지는 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의식이 높은 사람들은 사회적 지위에 대해 갈망하며 스스로 자신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리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목록에 사람이 아닌 도구를 선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네이처는 "올해 뉴스란을
지배
한 챗GPT의 영향력은 과학과 사회 전반에 미치고 있다"며 "사람이 아닌 챗GPT는 '네이처 10'에 걸맞지 않을 수 있지만, 생성형 AI가 과학 발전과 진보를 심오한 방식으로 변화시킨 점을 인정해 목록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
2023.11.25
정의하는 핵심적 요소로 여기는 아이들의 경우 과거의 경험에 의해 현재의 선택을
지배
당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도 잘 하지 않으며 따라서 치료의 목적 또한 더 나은 삶을 사는 것보다는 스스로 내린 진단명을 재확인받고 위로받는 데 그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익룡 조상 '고대 파충류', 부리·발톱으로 사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19
2억4000만~2억1000만 년 전 지구에서 서식한 고양이 크기의 파충류다. 공룡과 함께 중생대를
지배
했던 익룡의 근연종이다. 앞서 영국 버밍엄대 연구팀은 익룡의 초기 근연종인 ‘스클레로모클루스’라는 파충류가 해부학적으로 라게르페티드에 더 가깝다는 분석을 2022년 내놓은 바 있다. 단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산 예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인류는 지구의
지배
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런
지배
자는 공룡이 그랬던 것처럼 지구에 격변기가 있을 때마다 몰살되곤 했다. 현재의 기후위기가 지구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을 예상하면 인류가 멸종의 단계로 들어서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인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것이 당연하다고 하는 공식이 그간 얼마나 공고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사회를
지배
하는 공식을 깨기는 어려우니까 다들 착취당하지 않는 세상을 만들자고 하기보다는 나라도 위로 올라가야겠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는 보다시피 모두가 모두에 의해 밟히는 사회다. 때문에 나라도 이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박살내야겠다는 생각으로 수년간 전쟁준비를 했다. 그리하여 1812년 초에 프랑스가
지배
하는 여러 나라에서 차출한 약 60만 명의 대부대를 조직했다(그래봐야 1200년도 더 전에 고구려로 쳐들어온 수나라 군대의 반 정도에 불과하다). 군인의 수가 많으면 일사분란하게 명령이 전달되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