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절망"(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2024.02.28
- 전공의·의대생을 대상으로 극단적인 협박과 겁박을 계속하고 있는 보건복지부의 모습은 절망적이다. 과학자를 ‘떼도둑’(카르텔)으로 매도했던 작년 여름의 상황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자칫 젊은 전공의와 의대생을 범죄자로 만들어 버리면 그 결과는 돌이킬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을 걱정해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2023.12.06
-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수입선 다변화’와 같은 선문답(禪問答) 수준의 대책도 절망적이다. 톤당 400달러로 값이 싸면서 비중(比重)이 1.3으로 부피가 큰 범용 소재인 요소의 경우에는 운송비 부담을 무시할 수 없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카타르와 같은 나라에서 요소를 수입하려면 최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2023.09.27
- 과학자들을 ‘약탈적 이권 카르텔’이라고 몰아붙여 놓고 2달 만에 새로 내놓은 예산은 절망적인 수준의 졸속이었다. 소부장‧감염병‧중소기업 지원이 ‘카르텔’이었다는 변명은 어떠한 설득력도 기대할 수 없는 궤변이었다. 국가 비상 상황에서 국민 설득을 위해 기재부가 긴급한 예산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2023.09.16
- 부정정인 감정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실제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분노와 절망 외에 아직 무언가 할 수 있다고 믿는 희망과 통제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당장 내 작은 행동이 지구를 위기에서 완벽히 구해내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작은 행동들이 모여 분명 더 큰 변화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2023.06.03
-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다. 더 성장하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자신을 갉아먹는 좌절과 절망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삶을 좀 더 가까이 들여다 보면 좌절에서 벗어난 것 같았지만 곧 다시 넘어지고 멀쩡해진 줄 알았는데 다시 앓아 눕는 일의 반복이다. 동화에서처럼 그 후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불안하란 법은 없다2023.04.15
- 나만 실수하고, 나만 뒤쳐지고, 나만 스트레스 받고, 나만 우울하고 불안하다는 생각에 절망했다면 살아있는 모든 마음 안에는 비슷한 외로움과 불안들이 자리하고 있음을 떠올리자. 혼자인 것 같을 때일수록 혼자가 아니다. ※참고문헌 https://www.nimh.nih.gov/health/statistics/any-anxiety-disorder Golder, S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2023.04.04
- 개발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수용하기 어렵다. 우리가 초라한 최종 성적표에 절망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특히 정부의 방역 정책에 충실하고 성실하게 참여했던 국민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렇다. 오히려 개인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경제‧사회적 불이익을 묵묵히 이겨내고, 나와 이웃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2023.01.18
- 제공 자연계열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문·이과 통합수능에 의한 ‘문과 침공’으로 절망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서남수 전 교육부 장관이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을 전했다고 한다. 자신이 2013년에 내놓았던 문·이과 통합의 청사진에 맞는 수능 개편을 완수하지 못해서 ‘여러 문제’를 겪게 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트레스는 '백신'...어려움 속 더 강해진다2022.12.17
- 때 생각보다 충격에 잘 견디고, 절망과 무기력에 꽤 잘 저항하는 편이고, 설령 슬픔과 절망에 빠지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천천히 다시 원래의 상태를 회복하는 편이다. 우리의 정신상태는 어느 정도 고무고무하다고나 할까 꽤나 탄력적이다. ● 당신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강하다 하지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태원 참사 의문 해소 안되면 '슬픔' 지속돼"2022.11.06
- 이 참사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주체와 사회 구성원들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셈이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항상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유족들을 지지하고 함께 책임 규명을 위해 애쓰는 일일 것이다. ※관련기사 Gillies, J., & Neimeyer, R. A. (2006). Loss, grief, and the search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