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스페셜
"
전하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메모리는 음의 정전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
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단백질 합성이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용액에 양
전하
를 띠는 고분자 PDDA와 음
전하
를 띠는 ATP를 넣어주면 둘이 엉키며 코아세르베이트가 만들어진다(왼쪽). 이를 플랫폼으로 해서 박테리아 두 종을 넣어준 뒤 세포를 터뜨리면 구성성분이 코아세르베이트에 재배치되면서 인공세포가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에티오피아 대학과 원자력공학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이를 통해 2차원 고분자를 유기 반도체 재료로 사용했을 때의 고질적 문제인 '낮은
전하
이동도'와 그래핀 반도체의 치명적 한계점인 '낮은 점멸비'를 모두 극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의 자매지인 '켐‘ 30일자에 게재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뉴바이올리지학과 김민석 교수 ... ...
[표지로 읽는 과학]양자효과 연구 위한 분자, 어떻게 한계까지 냉각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30
나눌 수 있다. 쌍극자모멘트란 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도 크기가 같고 부호가 다른
전하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성질을 가진 분자는 장거리에서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양자효과를 관찰하기 위한 또 다른 도구인 원자의 경우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서로 충돌을 시켜야 한다. ... ...
[2022 필즈상]정보과학과 대중화 분야의 필즈상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6
수상하며 학계에 이름을 알렸다.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레비-리브 함수'가 꼽힌다.
전하
간 정전기 상호작용 에너지인 ‘쿨롱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이 함수는 현대 이론 화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계산식 중 하나다. 또 행렬 분석 분야에서 '리브의 오목한 정리'를 발표해 현대 양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격한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들
2022.06.28
채취해 질량분석법으로 대사체 프로파일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있다. 당시 젖산과 함께
전하
당 질량(m/z)이 236인 미지의 분자가 수치가 급등한 대사물로 검출됐다. 다만 전체적인 패턴을 보는 연구라 실체를 규명하지는 않았다. 연구자들은 이 논문을 살펴보다 이 미지의 분자가 락페임을 단번에 ... ...
“여름철 낙뢰 피하려면 우산 들지 말고 차량·건물에 머무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2.06.27
거쳐 곧바로 타이어를 통해 땅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있는 것이 더욱 안
전하
다. 한국전기연구원이 밝힌 낙뢰 예방법은 연구원 홈페이지(www.keri.re.kr)를 참조하면 된다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결합한 트라이온 양자 입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 또 이렇게 생성된 음
전하
또는 양
전하
트라이온 입자들은 불규칙한 움직임이 발광의 안정성을 낮추는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광 효율 저하의 주요 요인인 트라이온 재결합을 차단하기 위해 은 ... ...
'그린수소' 생산하는 인공잎 성능·내구성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꼽힌다. 광흡수층과 전기화학 촉매를 하나의 소자로 통합한 광전극은 태양광을 받아
전하
를 만들어 물을 바로 분해해 효율이 높다. 그러나 물속에서 동작하면서 광전극이 부식되거나 표면 촉매가 떨어져 나가는 내구성 문제가 있어 실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해조류 표면은 물을 많이 ... ...
두 물질 접촉면의 온도차 전기를 만들다…한국 과학자들 마찰전기 발생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7년만에 마찰전기의 발생 원리를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마찰전기의
전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마찰전기 팩터’ 공식을 유도해 이를 이용한 이론 마찰 대전열을 세계 최초로 구성했다. 마찰전기 팩터는 온도차로 유도되는 전압을 의미하는 ‘제벡 계수’와 미도, 비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