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장대"(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2020.10.22
- 말할 수 있다.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그렇다. 대장균, 초파리, 선충, 옥수수, 애기장대처럼 유전학의 오래된 모델생물들의 유전체도 오랜 시간동안 유전학자들에 의해 편집되어 왔지만, 크리스퍼는 종간의 장벽 없이 아주 빠르고 효율적으로 유전체를 편집할 수 있는 혁명적인 도구다. 이 도구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2020.09.08
- 증가 폭이 작았다. 한편 담배 셀룰라아제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 담배/애기장대에서는 접붙이기 성공률이 억제하지 않았을 때 50%에서 10%로 뚝 떨어졌다. 다만 담배의 셀룰라아제가 어떻게 작용해 접붙이기가 성공하게 도와주는지는 아직 모른다.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먼저 절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2020.09.01
- 중심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안정화돼 상분리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애기장대 ELF3 유전자의 이 부분을 야생잔디의 서열로 바꿔치기하면 27도에서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꽃이 늦게 핀다. 핵 내부에 있는 인은 리보솜을 만드는 곳으로 그 구조는 미스터리였지만 2011년 액체방울임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2020.05.12
- 두 개짜리 유기분자를 만드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9가지 종 가운데 정작 식물은 애기장대 하나뿐이고 나머지는 박테리아(세균), 아케아(고세균)에 사람(동물)까지 포함된다. 광합성과 전혀 관계가 없는 생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를 가져다 필요한 곳에 부품처럼 끼워 넣어 효율성이 높은 ... ...
- 한국 철마, 북한 거쳐 시베리아까지 달린다…'동북아 공동화차' 첫 시연동아사이언스 l2019.12.05
- 니켈 금속 비율을 조절한 재질로 개발했다. 공동화차에는 여기에 긴 열차를 뜻하는 장대편성열차를 멈추는 제동기술도 들어갔다. 열차 대수가 많을수록 무게가 늘어 열차를 멈추는 데 더 많은 힘이 소모되기 때문에 기존 열차와 다른 제동기술이 필요하다. 궤간가변대차 기술은 열차 바퀴 축에 ...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12.08
- 달 토양에 식물을 심는 온실 실험도 처음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작은 속씨식물인 애기장대를 달 토양에 심고 온실을 만들어 적정 온도를 맞춰준 뒤 중력이 지구의 16.7%에 불과한 달 환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한다는 것이다. 앞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을 키운 적은 있지만 달에서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결합해 탈아세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PWR-HDA9 복합체는 애기장대의 개화 조절 유전자 중 하나인 AGL19의 탈아세틸화를 촉진함으로써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조절, 식물의 개화 시기를 조절함이 증명됐다. 연구성과는 에 2016년 12월 게재됐다. 다양한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인식하는 생체시계 시스템도 매우 큰 편이라고 말했다. 2013년 그는 남 단장과 함께 애기장대라는 식물을 이용해 노화에서 중요한 생체시계가 어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식물이 외부환경의 변화에 강건하게 버틸 수 있는지를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디벨롭멘털 셀(Developmental Cell)'에 게재됐다.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Inhibition by Assembled Trap)'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메소드'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식물 애기장대의 청색광수용 단백질인 크립토크롬2(Cryptochrome2)와 이것의 짝 단백질인 CIB1, 인간 세포에 존재하는 다중체 단백질을 조합했다. 동물 세포에 빛을 비췄을 때 커다란 단백질 복합체가 형성되도록 디자인했고, ...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 뒤바뀌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놀라운 점은 꿀잡이새는 정말 야생조류라는 점이다. 장대를 휘저어도 닿지 않는 거리에서 지저귀고 좀 날아가다 ‘잘 따라오고 있나’ 확인이라도 하듯이 멈춰 사람들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면 컴퓨터그래픽(CG)효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아무튼 당시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