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물
작
예술품
미술품
문학
문예
문헌
스페셜
"
작품
"(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인기를 끌었던 ‘메칸더V’ 역시 원자력으로 움직이는 로봇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일본
작품
이다. 위 : 국내에서도 방영된 일본 애니메이션 ‘메칸더 V(합신전대 메칸더 로보)’. 극 중의 거대 로봇, 메칸더는 원자력으로 움직인다는 설정이다. 아래 : 데츠카 오사무의 명작, 철완 아톰의 주인공 ... ...
원자로도 스마트 시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만든 차세대 원자로라는 뜻이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이 원자로는 우리 연구진의
작품
이었다. 그리고 이번에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원자로가 바로 이 원자로다. 대표적인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전에 관심을 둔다는 점이 조금 이상해 보이겠지만, 사실 언젠가는 ... ...
방사선 공포를 극복하는 128개의 눈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스티븐 킹의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는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공포를 극대화시킨
작품
중 하나다. 작중의 한 치 앞도 볼 수 없는 안개는 등장인물과 관객에게 극도의 공포감을 준다. (ⓒ 와인슈타인컴퍼니) 사람들이 원자력이나 방사선을 두려워하는 이유도 ‘익숙치 않은 것’, ‘확인할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여러 도상과 지식들이 파생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사진은 티벳의 19세기
작품
. -
작품
명 '아미타불 만다라' 제공 책의 이야기에서 시간을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보자. 어딘가에서 폭발한 초신성은 또 다른 가스덩어리에서 탄생했을 것이다. 그 가스를 이루는 분자들은 원자로 구성되고, 원자는 다시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
IBS
l
2014.12.16
통용되는 'KAIST에서 만든 탄소나노구조물'은 1999년에 그가 나노주형합성법으로 개발한 첫
작품
이다. 2006년 이후부터 그는 제올라이트 골격으로 이루어진 메조다공성물질의 합성법을 개발해 '네이처', '사이언스'에 잇달아 발표했다. 그는 제올라이트를 들고 찍은 자신의 사진이 들어가 있는 명함을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책방에서 한국문학
작품
을 자연스럽게 만나는 풍경이나 외국친구에게 번역된 한국 문학
작품
을 선물하는 풍경을 상상해보자. 생각만 해도 마음이 뿌듯하다.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자케 드로(Jacquet Droz)가 개발한 글씨 쓰는 소년 형상의 오토마톤이 가장 유명하다. 이
작품
을 변형시켜 실제로 제작한 오토마톤이 2011년에 개봉한 영화 '휴고(Hugo)'에 등장하기도 한다. 오토마톤은 신기한 장치 또는 비싼 장난감 취급을 받았지만 로봇은 그보다 한 단계 발전해 본격적으로 인간의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없다는 사실에 대해 말이다." 과학자들은 눈으로 보고 나서야 우리의 뇌가 얼마나 대단한
작품
인지 깨달았다. 지금 우리가 지닌 연구방법론의 수준에 비교했을 때 뇌의 복잡함과 정교함에 압도당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코끼리를 더듬던 손에 눈을 달기는 했지만 아직 머리의 눈이 열리지는 않은 ... ...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연구로 인류 행복과 사회 발전에 공헌'이죠.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거 제가 만든
작품
입니다." 선거가 코앞에 다가왔다(몇몇 독자는 선거가 막 끝난 시점에서 이 글을 읽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뽑는 사람이 많고 후보자가 많은 만큼 여기저기 자신들의 공약과 존재감을 나타내기 위한 표어가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중요한 질병에 대한 치료약도 쉽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150여 년 전의 사진
작품
하나가 동물과 인체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를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듯 미시세계를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 기술은 화학과 약학, 의료 산업을 급속히 발전시킬지도 모른다. * 본 콘텐츠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