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기소개"(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05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지난 7월 23일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엔나에 700여 명의 한국인 과학자들이 모였다. 올해로 일곱 번째를 맞이하는 '한·유럽 한인 과학기술 학술대회(EKC)'에 참가하기 위해서다. 2008년 독일 하이델베르크를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광유전학을 소개하는 허 교수. 광유전학은 빛으로 단백질의 기능, 나아가 동물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이다. - 김상현 제공 "사실 저의 연구분야가 뇌과학이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왜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에 참여하게 됐을까요? 그동안 저희 연구실에서 개발한 다양한 바이오이미징 ...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KISTI l2014.05.26
- “드드드득…, 탁! 토독…, 탁! 타닥!” 시간 차를 두고 터져 나오는 톡톡 소리와 함께 향긋한 냄새가 번진다. 왠지 기분이 좋아지며 입안에 군침이 돈다. 팝콘을 튀기는 소리다. 말린 옥수수 알갱이에 열을 가해서 만들기 때문에 탁(pop) 하고 터지는 옥수수(corn)라는 이름이 붙었다. 팝콘은 섭씨 200도 ...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KAIST l2014.05.26
- 심민규 상무는 리니지의 초창기부터 함께한 인물이다. - KAIST 제공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합니다. 저는 엔씨소프트의 라이브개발그룹을 맡은 심민규입니다. 엔씨소프트의 대표작품인 리니지를 비롯해 리니지2, 아이온처럼 현재 서비스 중인 MMORPG에 대한 업데이트 및 개발 진행을 맡고 ... ...
- 미래 보건의료산업KOITA l2013.08.09
- 세상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발전 속도에 가속이 붙는 현상은 보건의료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 단위를 넘어서 나노 단위 물질을 진단에 이용하게 되고, 인체의 형태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영상술은 기능까지 알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유전자치료와 세포치료의 개발은 ... ...
- 미래부, 창조경제 견인할 싱크탱크 구성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7.25
- 되며, 9월 초에 최종 선발될 예정이다. 서류전형에서는 그간 업무성과, 직무수행계획서, 자기소개서 등을 평가하여 실제 채용인원의 3~5배수를 선발하고, 면접을 통해 전문성, 연구관리능력, 품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선발한다. 모집기간은 7월25일부터 8월19일까지 총 26일 동안 진행되며, ... ...
-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동아사이언스 l2013.06.28
-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반도체를 만드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실리콘을 이용한 증착 공법으로 웨이퍼를 만들어야 하고 이를 작게 잘라 전도도가 있는 반도체로 바꿔야 한다. 그런데 인쇄 기법으로 공정을 완전히 바꾸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도 반도체를 만들 수 ...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전북대 이중희 교수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06.13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고전도성 나노복합재료의 친환경 제조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전북대학교 이중희 교수(李仲熙, 53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교수는 나노소재의 뛰어난 특성을 보존하기 위한 제조공정 개발의 중요 ... ...
- "나노기술은 타 분야와 오케스트라처럼 협연해야 빛나"동아사이언스 l2013.06.12
-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이윤선 기자 petiteyoon@donga.com 제공 “나노기술은 ‘도우미 기술’입니다. 나노기술 자체가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분야에 접목이 가능하죠. 각각의 분야 기술들이 발전을 꾀하다보면 한계상황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 때 나노기술은 한 단계 뛰어 ... ...
-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_장학생 김세엽 학생 인터뷰KAIST l2013.05.03
- 학생은 자신의 미래 설계가 확고하고 KAIST에 대한 애착이 많아 보였다. Q. 간단하게 자기소개를 한다면? 안녕하세요. 한성과학고를 졸업했고 이번에 KPF 장학생으로 선발된 김세엽입니다. 1학년 때부터 관심이 있던 학교에 입학하게 되어서 기분이 좋고, 같이 입학한 친구들도 다 좋아보여서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