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리
인륜
도덕
가치 체계
윤리신학
신학
윤리강령
스페셜
"
윤리
"(으)로 총 32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이기적이고 비
윤리
적인 길을 걷는 걷은 단기적으로는 이득일 지 모르겠으나 장기적으로는 ‘상종해서는 안 되는 사람’이라는 평가를 불러오기 마련이다. 물론 어느 한 가지 특성에 있어 남들보다 뛰어나다고 해서 그것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개선하기 위한 꼼수가 넘쳐날 뿐이다. 국제 사회가 정당하게 요구하는 최소한의 ‘연구
윤리
’에도 신경을 쓰지 않는 중국의 과학기술을 부러워할 이유가 없다. 현대의 과학기술은 필연적으로 국제화‧국제협력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갈라파고식 연구개발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것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제기되기도 하고, 뇌의 일부를 잘라내어 뇌가 담당하는 고도의 기능을 못하게 하는 것이
윤리
적으로 합당한 치료법인가에 대한 논란이 일어났다. 실제로 수술을 받은 환자는 뇌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없는 손상이 가해지므로 성격이나 감정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1970년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물론 농약 제조사와의 야합으로 권력과 부를 누리던 정치인들의 폐해도 심각했다. 비
윤리
적인 기업을 위해서 자신들의 재능을 함부로 써버린 화학자들의 책임도 가볍지 않다. 카슨의 주장은 더욱 안전한 농약을 안전하게 생산해야 하고 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줄기세포에 주목했다. 인간의 정자와 난자가 아닌 줄기세포를 사용한 배아는 국제 연구
윤리
가이드라인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앞서 국제줄기세포연구학회는 정자와 난자를 수정한 배아를 14일 넘게 배양하면 안 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14일은 척추와 장기 등 인간의 신체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수상 업적이 엉터리로 밝혀지기도 했고, 1949년 안토니우 모니스의 전두엽 절제술처럼
윤리
적으로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잔인한 시술을 확산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 연구·개발(R&D) 제도 혁신방안과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지혜롭게 극복했다는 평가도 있었다. 긴급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감수했던 비효율과 비
윤리
를 지금까지 끌어안고 있었다는 사실은 어처구니없는 것이다. 만약 그런 지적이 사실이라면 소부장과 감염병 부분만 수술하면 될 일이다. 기초연구와 출연연의 예산을 도려내야 할 이유가 없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통해서 팀에서 ‘리더’ 또는 ‘결정자’ 역할을 하게 된 사람들이 다른 구성원들이 비
윤리
적인 결정을 내릴 때 이를 방관하는지 아니면 구성원들의 의견과 다른 의견을 낼지에 대해 살펴 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팀에서 결정자 역할을 하고 있었던 사람들이 영향력이 적었던 사람들에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수 없다. 설사 이 노인들이 자발적으로 모든 부작용과 피해를 자발적으로 감수하여
윤리
적 문제가 줄었다 한들 문제점은 여전하다. 인간의 뇌는 약 1000억여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는 다른 동물들보다 상대적으로 복잡한 뇌 구조와 신경회로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892명으로 거의 40%나 줄었다. 일부 철학과는 생존을 위해 ‘철학상담학과’나 ‘철학
윤리
학과’로 간판을 바꿔 달기도 했다. 졸업생의 취업률을 높여보겠다는 몸부림이지만 실효성이 있는 시도였는지는 불확실하다. 그런 시도가 ‘인문학으로서의 전통적인 철학의 순수성을 훼손한다’는 지적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