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실
로스
상실
스페셜
"
유실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대처 도움될 줄 알았던 숲가꾸기 독(毒) 될 수도
연합뉴스
l
2020.06.24
있다. 연구팀은 그러나 당국의 느슨한 법 집행과 예산의 한계로 기존 자연림을 없애고
유실
수나 고무나무 등을 재배하는 수목형 농장(tree plantation)으로 바뀌는 것을 막지는 못해 부작용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멀쩡한 숲마저 수목형 농장으로 바꿔버렸다는 것이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바람에 이 계획은 빛을 보지 못했다. 다빈치 사후 그의 수많은 원고는 시대와 함께 많이
유실
되었다. 다빈치의 해부도가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은 그가 죽은 지 200년 뒤였다. 역사상 최고의 화가이면서 최고의 과학자가 남긴 인체해부서적이 예정대로 발간되었더라면 의학의 역사가 바뀌었을지도 ... ...
그린란드 빙하 3조8000억t 사라졌다...녹는 속도 90년대보다 7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해안가 침수로 피해를 볼 것으로 2013년 전망했다. 하지만 여기서 예측한 그린란드 빙하
유실
속도보다 이번에 관측된 값이 더 커 약 7㎝ 더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앤드루 셰퍼드 리즈대 교수는 “해수면이 1㎝ 상승할 때마다 600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는다”며 “지금의 기후변화 ... ...
엄재식 원안위원장 "후쿠시마 대응 TF 꾸려 대응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태풍 2개가 더 연달아 일본으로 온다는데 더 큰 피해와
유실
이 예상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일본 정부에는 물어봐도 알려주지 않는다”며 “안되면 정부가 이야기해서 논의라도 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엄재식 원안위 위원장은 ... ...
이병천 서울대 교수 복제견 연구를 둘러싼 미해결 논란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해당되므로 법을 위반했다는 뜻이다. 동물보호법 24조(동물실험의 금지 등)에 따르면,
유실
·유기동물과 장애인복지법 제40조에 따른 장애인 보조견 등 국가를 위해 사역하고 있거나 사역한 동물은 동물실험을 해서는 안 된다. 동물보호 단체들은 “메이는 농립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학 지역지부에서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6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농경지를 최적의 상태로 회복하는 데 종종 이용된다. 그러나 토양
유실
이 일어나거나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어 땅이 귀한 네덜란드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었다. 네덜란드의 시설농가들이 선택한 방법은 땅에서 벗어나는 것, 바로 화분을 이용한 재배였다. “네덜란드의 ... ...
충적층 위의 아찔한 도시, 싱크홀 '대란'의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구멍을 덮는 것만으로 싱크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구멍을 단순히 메운 흙은 다시
유실
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빈 공간에 지하수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물을 넣거나 보강재를 넣어 땅을 단단히 굳히는 작업이 시급하다. 애초에 지하 공사를 하기 전에 미리 지하수위를 예측해 지하수와 지반을 ... ...
[채널A] 첨단 수중음파탐지기 투입…희생자 시신 찾아낼까
채널A
l
2014.05.07
물체들이 확인됐기 때문에.. 길이 1.5m 물체의 정확한 모양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실
된 시신이 있을 경우 포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선박에 직접 장착해 사용하는 만큼 조류 때문에 무용지물이었던 게 로봇 '크랩스터'와 달리 특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채널A 뉴스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20 nm 이하의 단위 나노입자에 집중되어 있고, 단위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한 외부로의
유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핵심 돌파구는 자성 마이크론소재에 은 나노입자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회수와 분산성을 확보함으로써 환경오염은 줄이고, 노출된 나노입자 표면이 유해 미생물에 직접 ... ...
바다와 해양에너지 지혜롭게 개발해서 현명하게 쓰자 2부
KIMST
l
2013.05.03
잡초 밭으로 변할 것이다. 잘 가꾸려면 구역을 나누어 잔디밭, 꽃밭, 텃밭을 만들고
유실
수도 심고 정원수도 심어야 한다. 그래야 땅 속에는 지렁이가 살고 꽃밭에는 벌과 나비가 찾아오고, 잔디밭에서는 아이들이 뛰어놀게 되는 것이다. 이 것이 해양공간계획이 시급한 이유다. 해양에너지도 이 틀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