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스페셜
"
유명
"(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2024.07.27
피해자가 혼자 가해자의 덫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일은 쉽지 않다. 연예인 또는
유명
인플루언서 같은 사람들조차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 또한 이를 잘 보여준다. 가장 좋은 것은 위험 신호가 보이기 시작할 때부터 주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지난해 7월 13일 96세로 세상을 떠난 스웨덴의 생화학자 라르스 융달(Lars Ljungdahl)은 그렇게
유명
한 과학자가 아니다. 매년 20명 내외의 과학자 부고를 싣는 학술지 '네이처'나 '사이언스'도 그냥 지나갔다. 그러나 그의 이름은 스승(지도교수) 할랜드 우드(Harland Wood)의 이름과 함께 묶여 생화학 역사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인상이 완벽한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2024.06.22
때문에 그만한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③ 비슷한 맥락에서 인기,
유명
세, 권력에 대한 욕구가 크며 자신에 대한 비판을 참지 못한다. 사람들의 관심과 선망을 사는 것을 좋아한다. ④ 공감능력이 낮은 편이며 친밀한 관계에 별로 관심이 없다. 주변에 한 두명쯤 있을 법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유대 형성에 옥시토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옥시토신이
유명
세를 탄 건 1990년대 초원들쥐 연구 결과가 널리 알려지면서부터다. 초원들쥐는 사람처럼 일부일처제로 가정을 이루고 사는데(포유류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다) 알아보니 옥시토신이 원동력인 것으로 밝혀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올해의 연구 성과로 GLP-1 모방 비만 치료제를 선정한 것은 뜻밖이었다. 제품명 위고비로
유명
한 이 의약품의 효과가 워낙 대단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지만 그래도 과학 학술지인데 후보에 오른 업적 9개 가운데 하나로 넣는 정도가 무난해 보인다. 2000년대 들어 지구촌 비만이 가파르게 늘고 있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대한 내용을 '상히타'와 같은 책에 기록해 두었다. 여러 책 중에서 수술과 관련하여 가장
유명
한 것은 '수슈루타 상히타'로 2013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수술은 사람의 몸에 칼을 대어 필요가 없거나 상한 부위를 잘라내는 방법이다. 몸 안쪽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거기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존 거쉬 미국 시각예술가가 호미닌 '루시'를 실물 크기의 형상으로 만들었다. 사이언스 제공 오늘날 많은 인류학자는 인류의 최초 발원지로 아프리카 대륙을 꼽는다. 정 ... 미친 영향에 대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루시를 발견한 조핸슨 소장을 비롯한 전 세계
유명
인류학자가 참석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그런 통계가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기도 한다. '톰 소여의 모험'으로
유명
한 마크 트웨인은 100여 년 전의 자서전에서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라고 했다. 빅토리아 시대의 벤저민 디즈데일리 총리도 통계 조작의 유혹에 시달리던 자신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위생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하버드 법대와 의대를 졸업한 홈즈는 시인으로도
유명
한 팔방미인이었다. 그는 산욕열에 대한 논문을 쓰면서 고든이 1795년에 남긴 논문을 인용하면서 그에게 공을 돌렸다. 참고로 제멜바이스는 이들의 논문을 인용하지 않았으며, 몰랐기 때문에 인용하지 않았는지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부상으로 상금 500만 원을 받았다. 투명망토 물질로도
유명
한 메타표면은 빛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인공 물질로 기존 렌즈 두께를 1만분의 1로 줄일 수 있어 가상 · 증강현실 기기나 라이다(LiDAR)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력이 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