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
운수
숙명
팔자
목숨
천명
운세
스페셜
"
운명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UNIST, 국제적 수소 공급망 최적화 방법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최종 단백질로 번역까지 일어난 이후 추가로 생기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기존 단백질
운명
조절과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됐던 PTM 신호를 구분해 단백질 수명 조절 관련성을 규명했다. 이지민 교수는 "기존 약에 반응하지 않거나 저항성이 생기는 단백질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암·퇴행성 뇌질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침투해 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미생물이 암세포의 공생체(또는 기생체)로 암세포의
운명
에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앞서 젬시타빈 내성의 경우도 암세포 안으로 들어온 약물이 작용하기 전에 박테리아가 분비한 CDD 효소가 먼저 분해한 결과일 것이다. 암세포 전이에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겉으로 거칠어 보이는 태풍이 사실은 브라질 밀림을 날아다니는 나비의 날갯짓에도
운명
이 바뀔 정도로 정교하고 민감한 존재이기도 하다. 일본이 기상청을 가족만큼 신뢰하는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필리핀‧대만과 마찬가지로 태풍의 엄중함을 온몸으로 극복하는 경험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연구하는 사람도 많으며 교육자도 많고 대학교수도 많습니다. 그러나 끝까지 학문과
운명
을 같이하고 최후의 일각까지 교육에 몸을 바친 분은 많지 않습니다. 가신 어른에게 실례되는 표현일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신념(信念)과 자신(自信)의 사나이’, ‘의지와 고집의 사나이’, 그리고 ‘학문과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
2022.07.05
비우고 집중했더니 오히려 정신이 평안해졌다. 힐링이었다. ○ 단 하나의 수업이 바꾼
운명
Q. 학부 마지막 학기 때,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로 초빙된 일본의 세계적인 수학자이자 1970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헤이스케(広中 平祐, Heisuke Hironaka)’의 수업을 들으면서 수학자가 되기로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달라지는 건 없다. 생년월일이나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의 움직임이 사람의 성격이나
운명
에 영향을 끼친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알고리즘을 복잡하게 만들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한다고 해서 없는 근거가 생기는 건 아니다. 고대 그리스인이 조각한 안티키테라 장치로 친 점보다 내가 몇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제는 진정한 ‘과학방역’을 시작해야 한다
2022.05.25
느닷없이 5단계로 늘어나기도 했다. 결국 중대본을 운영하던 국무총리가 자영업자의
운명
을 틀어쥐는 형국을 만들어버렸다. 정부가 백신 접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것도 과학보다 정치를 앞세운 결과였다. 우리 기업이 세계 최초로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는 일부 정치권의 근거 없는 ...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정책 전반에 민간 참여 확대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기술패권 경쟁이 격화되며 과학기술이 곧 경제이자 안보인 시대가 됐다”며 “국가의
운명
을 좌우할 기술 대변혁의 갈림길에서 낙오하지 않고 글로벌 선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추격자에서 선도자가 돼야 한다”고 했다. 이 장관은 이를 위해 "먼저 과학기술과 디지털 정책과정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학계를 떠나는 과학자들
2022.04.07
중국과 한국 에서 유학생이 감소하는 지금 미국 대학들 역시 한국의 대학들과 비슷한
운명
에 처할 수 밖에 없다. 굳이 학계에서 과학자로 살아남는 문제를 거론하지 않아도 전세계 대부분의 대학시스템은 거대한 구조적 위기를 겪고 있다. 과학자로 훈련받는 과정의 절반 이상은 데이터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철학자 오토 노이라트의 말처럼, 우리 모두는 바다를 항해하는 배 위에서 배를 수리하는
운명
을 가진 사람들일 뿐이다. 배를 멈추면 배는 침몰한다. 과학도 마찬가지다. 배를 멈추지 않고 최선을 다해 수리하는 일은 가능하다. 과학을 계속 발전시키면서, 재현성 위기를 개선하는 일도 충분히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