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연"(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2022.11.15
- 생명의 기원을 열역학의 관점에서 보면 거울상 가운데 하나를 택하는 건 순전히 우연이기 때문이다. 1848년 루이 파스퇴르는 포도에 존재하는 분자 타타르산 용액이 빛의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반면 화학적으로 합성한 타타르산 용액에서는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그는 합성 타타르산의 ... ...
- [2022 필즈상]사상 두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우크라이나에 희망 되길”수학동아 l2022.07.05
- 썼다. Q. 정수론을 전공하게 된 이유가 뭔가. A. 사실 나도 잘 모르겠다(웃음). 모든 우연들의 연속된 결과지만, 정수론을 좋아하는 이유는 확실하다. 사실 정수론은 정의가 다른 분야에 비해 제대로 잘 안 된 분야다. 정의가 정확히 잘 안 되어 있어서,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등장한다. 기하학,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2022.07.05
- 수 없었던 것을 이제는 알 수 있는 일들이 항상 일어난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결국엔 우연인 것 같다. 우리 두뇌에서 끊임없이 다양한 종류의 ‘랜덤 커넥션’이 일어날 텐데. 이게 어떠한 패턴으로 일어나는지에 따라서 우리가 소위 이해라고 부르는 현상이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기도 하는 것 ... ...
- 허블 우주망원경, 우주 나이 9억년때 별빛 관측…역대 가장 먼 별동아사이언스 l2022.04.02
- 관측됐다. 이 항성은 ‘WHL0137-08’라는 이름의 성단에 포함돼 있었다. 항성이 발한 빛은 우연히 중력렌즈 효과를 통해 수천배 밝아진 상태로 지구에서 관측됐다. 지구 저궤도에 떠있는 허블우주망원경은 9시간 동안 이 빛을 관측했다. 연구팀은 이 항성에 ‘새벽 별’ 또는 ‘떠오르는 빛’을 ... ...
- "정부 오미크론 대응 진료체계 코로나 이전방식으로 전환해야"동아사이언스 l2022.03.11
-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다른 이유로 입원이 필요한데 오미크론 감염을 우연하 알게되는 환자들이 생겨난다”며 “이런 환자들이 오미크론이라는 이유로 음압격리실에 가면 어느 병원이나 한도를 넘게 된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달 21일부터 입원이 필요한 환자 중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2022.03.10
-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즉, 통계학과 사회과학이 전문화되기 시작하던 20세기 초반에 우연히 벌어진 사건 덕분에, 심리학은 물론 다른 사회과학분야와 현대의 의생명과학분야까지 진정한 통계검정법인지 아닌지 결론조차 나지 않은 방법론으로 통계를 왜곡해온 셈이다. P값의 배신 과학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의 재현성 위기와 보통과학자의 송곳2022.02.24
- 베이글리가 암젠 같은 제약회사에서 수많은 암연구의 재현불가능성을 경험한건 우연이 아니다. 한때 머크에서 오래 근무했던 캐나다의 달하우지대의 조지 로버트슨 교수는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질환 연구의 대부분이 재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바이엘사의 과학자 쿠스루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한국형 백신과 축적의 시간, 그리고 카리코의 오래된 논문2021.12.30
- 현재 mRNA백신의 기술특허 대분이 미국의 대학과 국립연구소에 집중되어 있는건 결코 우연이 아니다. 최초로 mRNA백신이 생쥐에서 시험된 때가 1993년으로 당시 필자는 생물학과 대학신입생이었다. 한국은 1990년대가 되어서야 제대로된 분자생물학 연구가 시작된 나라다. 즉, 한국의 바이오의약산업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백신 불평등과 오미크론, 그리고 과학의 희망2021.12.03
- 축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김현성 페이스북 칼럼니스트는 오미크론 변이의 발생과 전파가 우연의 결과가 아님을 알리는 글의 마지막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남아공의 사례를 살펴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소위 '민족해방' 을 위해 식민 제국과 싸워 온 투사들이 '민족' 또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2021.10.26
- 못했고 그 결과 여전히 고추를 피하고 있다. 프랑스 유전학자 자크 모노의 저서 ‘우연과 필연’을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북부나무두더지(왼쪽)와 후추속 식물 한 종(학명 Piper boehmeriaefolium. 이하 pb)은 분포지역이 겹친다(오른쪽 지도). 북부나무두더지(tree shrew)는 이 식물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