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명예
악평
악명
누명
오점
흠
치욕
스페셜
"
오명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의눈]스웨덴은 어쩌다 면역정책에 실패한 나라가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좋지못한 별명까지 얻었다. 어쩌다 북유럽의 이미지 좋던 국가가 한순간에 이런
오명
을 뒤집어 썼을까. 서울에 있는 주한스웨덴대사관을 통해 공식적으로 물어봤다. 대사관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집단면역 정책을 공식적으로 펼친 일이 없다는 것이다. 스웨덴 ... ...
WHO 주저에도 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사망자 4천명 넘어
연합뉴스
l
2020.03.10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서 696명이 감염되면서 크루즈는 '떠다니는 세균 배양 접시'라는
오명
을 얻었다. 미국 크루즈선 그랜드 프린세스에서도 이날까지 최소 21명의 감염자가 나와 일본 크루즈 사태가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두 크루즈 모두 방역 실패가 지적되고 ... ...
감염병 대응 R&D는 양치기소년?…위기마다 수백억씩 쓰며 확보한다던 기술 어디로 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02
8명이 목숨을 잃었다. 전 세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많은 환자가 발생한 국가란
오명
을 떠안았다. 정부는 사태가 끝난 직후 신종 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외치며 관련 연구개발(R&D) 예산을 급히 늘렸다. 당장 이듬해 정부의 R&D 주무 부처이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신인 ... ...
[코로나 사태 한 달]종로·대구가 떨고 있다…"종교시설·병원 중심 전략 바꿔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가장 취약한 곳은 '종교시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람에게 전염시켜 '수퍼전파자'
오명
을 쓴 31번 환자는 교회에서만 10명에게 전염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국립암센터 예방의학과 교수)은 "싱가포르에서도 코로나19 환자 4명 중 1명꼴로 교회에서 ... ...
방역망 밖 29,30번 환자 등장에 지역사회 감염 우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정박한 이후 16일 기준 355명의 확진 환자가 나오며 대표적 방역 실패 사례라는
오명
을 쓴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 대해 미국은 전세기를 투입해 16일 밤 선내에 있던 300여 명의 미국인을 대피시켰다. 크루즈선에 탑승한 미국인은 380여 명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된 44명과 감염 증상을 보이는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박쥐→뱀→사람' 순으로 전파" 中연구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1.23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이다. 박쥐는 사람에게 전염병을 가장 많이 옮기는 동물이라는
오명
을 갖고 있다.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질환만 200개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것이 광견병 바이러스와 에볼라바이러스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갖고도 ... ...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세계 1위다.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만, 갈탄은 ‘가장 더러운 발전’이라는
오명
을 갖고 있는 주요 이산화탄소 배출원이다.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 중금속 등을 대량으로 배출한다. 태운 뒤에 재가 폐기물로 남기도 한다. 세계자연기금(WWF) 등이 2016년 펴낸 ‘유럽의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해독차 증기 들이마시면 효과?” 미세먼지 둘러싼 거짓정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한 유튜버는 '미세먼지 해독식품 15가지'를 소개했다. 과거 '미세먼지의 주범'이라는
오명
을 썼던 고등어가 이번에는 미세먼지 해독 식품 1호로 등장했다. 이 유튜버는 고등어가 중금속이 체내에서 쌓이는 것을 막아주며, 오메가3 지방산이 들어 있어 기도의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곤란을 개선한다고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앞으로는 뇌전증으로 쓰겠다)에 대한 연구가 꽤 진행됐음에도 여전히 환자들은 ‘미신과
오명
’ 속에 남겨져 있는 현실을 표현하고 있다. 학술지 ‘네이처’ 7월 10일자는 17쪽에 걸쳐 ‘뇌전증’을 특집으로 다뤘다. 모두 8편의 글이 실렸는데, 이런 얘기를 하긴 뭐하지만 다들 흥미진진했다.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