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스페셜
"
언어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디지털 표절 기계'에 불과한 것이다. 생성형 문법에 대한
언어
학 이론을 정립한 세계적인
언어
학자 노엄 촘스키의 분명한 평가다. 생성형 AI의 저작권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 한다. AI 디지털 기술의 미래는 온전하게 에듀테크 기업의 자율과 창의성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감과 책임감이 '도덕적 용기'를 높인다
2024.12.14
해를 입을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을 위해 나서는 것을 말한다. 누군가
언어
적 물리적 폭력 또는 차별, 성추행 등을 당하는 상황 같이 불의한 상황에서 직접 또는 경찰에 신고를 하는 형태 등으로 나서겠냐고 물으면 많은 사람들이 그럴 것이라고 답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적은 수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내년 3월 도입 AI디지털교과서, 미완성 기술에 교육 맡기나
2024.11.20
경계해야 한다. 환각은 생성형 인공지능이 어쩌다 저지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대형
언어
모델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구조적 한계다. 아무도 책임질 수 없는 '미완성의 미래 디지털 기술'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 우리 학생의 교육을 무방비 상태로 내던져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과연 교육부가 1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할 수 있는 AI 모델 'Evo'가 소개됐다. 브라이언 히에 미국 아크연구소 교수팀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고해상도 염기서열 해석·생성 AI 모델인 Evo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5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생명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는 DNA 염기서열에 모두 암호화됐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
2024.10.27
여긴다. 어린이가 말을 빨리 배우지 않으면 과거에는 시간을 가지고 기다렸지만 지금은
언어
치료를 시작한다. 피부미용이나 성형처럼 의학의 힘을 빌려서 뭔가를 더 좋게 만들려는 노력도 소화를 잘 하도록 소화제를 복용하는 것처럼 질병치료와 큰 차이가 없다. 피부에 점이나 검버섯이 생기는 ... ...
[과기원NOW] KAIST, 2024 IISWC '최우수 논문상','최우수 연구 기록물상' 동시 석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최우수 연구 기록물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박 교수 연구팀은 ‘초거대
언어
모델 추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공동 시뮬레이션 인프라’ 논문으로 두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 포스텍은 친환경소재대학원·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직접 ... ...
[표지로 읽는 과학] AI에 설득당하는 음모론자…"음모론 믿음 2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5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이번 연구는 반대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대규모
언어
모델이 대규모 음모에 대응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웹페이지(debunkbot.com)에 접속하면 누구나 연구팀이 개발한 AI 챗봇과 대화를 나눠볼 수 있다. - doi.org/10.1126/science.adq181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를 말한다. 환각은 생성형 인공지능이 어쩌다 저지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대규모
언어
모델이 가지고 있는 쉽게 극복할 수 없는 내재적·구조적 한계라는 뜻이다. 아무도 책임질 수 없는 '미완성의 미래 디지털 기술'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 의한 '디지털 속임수'에 우리 학생의 교육을 무방비 ... ...
[과기원NOW] KAIST "GPT-4V 보다 뛰어난 대형
언어
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크기를 키우거나 고품질의 시각적 지시 조정 데이터셋을 만들지 않고 멀티모달 대형
언어
모델의 시각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승렬 인공지능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이 기존 지식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는 'SDDGR' 기술을 개발했다고 2 ... ...
[과기원NOW] KAIST, 거대
언어
모델로 기업 의사결정 문제 풀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김민수 KAIST 전산학부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민수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거대
언어
모델을 이용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 ... RAG를 이용해 미시적 차원의 분석을 한다. 연구 결과는 자연어처리 분야 국제 학회인 ‘북미컴퓨터
언어
학학회(NAACL)’ 에 17일 게재됐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