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별력
판별력
직감
육감
식견
분별력
스페셜
"
안목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BT 분야의 성과는 15년 이상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니 장기적인
안목
가지고 국가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최 단장은 “제약산업의 경우 국민들이 신임 할 수 있는 약품개발을 해야 한다”면서 “연구자들이 법제도 때문에 연구를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사업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줘야 합니다. 연구능력 뿐 아니라 사업적인
안목
도 갖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가 생명과학에서 꼭 필요해요.”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생명과학의 연구성과가 사업화되기까지 중간 단계를 담당하는 컨설팅 회사가 많고 기술거래시장도 큰 규모로 형성돼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당장 이익이 생기는 진료병원은 민간투자를 통해서도 구축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안목
에서 기초연구를 하고 다양한 학문을 아울러야 할 연구병원은 민간투자로 짓기 어렵다”며 “새롭게 생기는 국가연구단지에는 연구병원을 짓고 연구소와 기업, 대학 등을 중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2.31
이제는 한의학이 공공의료를 위해 어떻게 기여를 할 것인지 고민할 때입니다. 거시적
안목
의 연구개발(R&D)을 하는 것이 첫 걸음일 것입니다.” 지난해 한국한의학연구원(한의학연) 내에 새로 설립된 한의학정책연구센터의 팀장을 이준혁 팀장을 지난달 24일 대전 유성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환경이다”고 강조했다. ●10년 이상 꾸준히 지원하는
안목
있어야 송 원장은 국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정리했다. 첫째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투자’, 둘째는 ‘바이오만의 차별화된 관리 시스템’, 셋째는 ‘거버넌스의 단순화’다. 송 원장은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적게 배출하는 농사를 지어보고 소비자라면 음식물을 낭비하지 말자. △ 장기적인
안목
으로 R&D에 적극 투자하고 조급하게 성과를 바라지 말자. 이준원 녹색성장정책관은 -1985 서울대 농업교육과 학사 졸업 -1990 서울대 대학원 행정학 석사 -1996 미국 워싱턴주립대 농업경제학 석사 -1984 제28회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이뤄져야 한다. △생명과학 분야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목
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993년~1996년 일본 동경대 생명공학과 박사(일본 국비 유학생) -1997년~2007년 미국 예일대, 하버드 대, 남가주대 연구원 및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것”이라고 전했다. 송지용 센터장의 이것만은 꼭! △ 국가 연구개발사업은 장기적
안목
에서 지원해야 △ 긴 기간이 필요한 원천연구도 ‘목표’를 설정이 필요 △ 바이오 분야는 여러 분야가 융합해여 성과를 낼 수 있어 송지용 센터장은 1973년 서울대 공과대학 화공과 학사 1981년 클라크손대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BT 분야의 성과는 15년 이상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니 장기적인
안목
가지고 국가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최 단장은 “제약산업의 경우 국민들이 신임 할 수 있는 약품개발을 해야 한다”면서 “연구자들이 법제도 때문에 연구를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09.04.07
사업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줘야 합니다. 연구능력 뿐 아니라 사업적인
안목
도 갖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가 생명과학에서 꼭 필요해요.”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생명과학의 연구성과가 사업화되기까지 중간 단계를 담당하는 컨설팅 회사가 많고 기술거래시장도 큰 규모로 형성돼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