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숫자"(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1911년 11월 18일 영국의 스코트가 드디어 남극점에 도착했다. 하지만 그곳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꽂혀 있었다. 나흘 전인 14일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이 이미 남극점에 도착한 것이다. 비록 ‘최초’라는 타이틀은 놓쳤지만 살을 에는 추위와 눈보라를 뚫고 남극점에 도착한 스코트 역시 위대한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100℃에서도 버틸 수 있다. 물질의 밀도 때문인데 대기 중에 존재하는 입자의 숫자가 적으면 온도가 높아도 전달하는 열에너지의 크기는 작다. 요컨대, 미래의 핵융합로에 갇힌 1억℃의 플라즈마가 갖는 총 열에너지는 같은 부피의 수 백 ℃의 대기가 갖는 열에너지와 비슷하다. 이 때문에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2015.11.24
- 300초. 5분이라는 시간은 대부분 우리 일상에서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업무 중간에 잠깐 화장실에 다녀오거나, 커피 한 잔을 타 마실 수 있는 정도의 시간. 또는 끓는 물에 라면을 넣고 면이 익길 기다리는 시간 정도이다. 하지만 5분이라는 시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순간도 있다. ... ...
- “깨끗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때문에 물과 섞어서 흐를 수 있게 한 다음에 처리하는 것이지요. 이 경우 공정의 숫자가 증가할수록 폐수의 발생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처리시설의 덩치도 커지지요. 그에 비해 제 기술은 일정한 양의 물에 고체와 액체 비율이 1대 3으로 유지되도록 퇴적물을 계속 넣으면서 각 단계의 ... ...
- 인공태양에 필요한 중수소와 삼중수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12
- 자연에 있는 수소 중 극히 일부는 원자핵에 양성자 하나와 중성자 하나가 있고, 더 적은 숫자의 수소는 양성자 하나와 중성자 두 개가 있다. 중성자 하나가 있는 수소를 중수소(deuterium), 두 개가 있는 수소를 삼중수소(tritium)라고 한다. 보통의 수소보다 무겁기 때문에 무거울 중자를 붙인 이름이다. ... ...
- 인간이 만든 가장 비열한 무기, 지뢰KISTI l2015.09.15
- 지뢰 매설 수가 가장 많다. 6.25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한반도 곳곳에 매설된 지뢰의 숫자는 수백만 개에 달하며 전쟁 이후에도 1천 명 이상이 지뢰로 인해 목숨을 잃고 신체 피해를 입었다. 그 중 80%는 민간인이다. ICBL은 군비축소회의에서 관련 조항을 더욱 엄격하게 개정하도록 지속적으로 ... ...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2015.08.18
- 약 2,000개에 달하는 OR유전자가 있었다. 냄새를 잘 맡기로 유명한 개보다 2배 이상 많은 숫자였다. 유인원과 인간에 비하면 5배에 달하는 수치였다. 동물의 후각 능력은 OR유전자의 수와 밀접한 상관이 있다. OR유전자가 많으면 훨씬 더 다양한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 린다 벅 교수는 200 ... ...
- 달라진 기후변화협약, 에너지 시장 어떻게 바뀌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11
- 화력발전소를 계속 확충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대기오염 문제로 석탄발전소의 숫자를 지속해서 줄이고 있으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석탄 화력발전의 비중이 높다. 다만 이번에 수립된 새로운 기후체제 하에서는 석탄 화력발전의 성장세가 크게 꺾이고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 ...
- 영광의 햇살과 바람으로 빚은 ‘국민 명품’ 법성포 굴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7
- 논란을 불식시켰다. 법성포 부둣가에서 햇볕에 몸을 맡긴 조기들. 방사선량계의 숫자가 인근의 원전이 수산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0.013μSv 는 대기 중 방사선량과 거의 같은 수치로 사실상 조기에서 방사선이 나오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지역 주민들의 생각은 어떨까?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2015.01.20
- 0개로 늘리면 사물의 전체적인 영상을 보다 더 잘 나타낼 수 있고, 기술이 더 발달해 점의 숫자가 무한히 늘어나면 시각장애인도 장애물을 피해 걸어가고 문과 창문도 통과할 수 있다. 이런 인공눈은 최근 미국 벤처인 세컨드사이트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아구스 II(Argus II)’라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