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행실
행위
실행
품행
활동
일
스페셜
"
소행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
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두 번째로 큰
소행
성인 ‘베스타’에 도착해 1년간 탐사 임무를 수행한 뒤 2015년부터
소행
성대에서 가장 큰 세레스의 궤도를 돌며 표면의 얼음과 화산을 관찰했다. 돈은 2018년 6월에서 10월까지 세레스 표면 35km에 다가가 오카토르 충돌구 탐사를 하는 마지막 임무를 진행했다. 돈은 연료가 고갈돼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유성우의 이름은 복사점이 있는 별자리 이름을 따 지어진다. 유성우를 만든 혜성이나
소행
성 이름과는 관련이 없다. 유성우는 한 방향으로 떨어지지만, 지구에서 보는 사람의 시야 때문에 복사점을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다만 날씨 때문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이슬람 전성기의 유럽은 여전히 중세 암흑기를 벗어나지 못했고 질병이란 악귀의
소행
정도로 여기던 시절임을 생각해 보면 이슬람 문명의 성취가 얼마나 대단한지 느낄 수 있다. 이슬람이 없었다면 르네상스도 불가능했을 거라는 평가는 허언이 아니다. 당연히 이슬람 의학도 누차 말했듯이 1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루머와 음모론이 건강을 해친다
2020.03.28
그러면 같은 사건임에도 그 결과가 훨씬 컸을 때, 즉 대통령이 죽었을 때 단독범의
소행
일리 없으며 훨씬 오래전부터 계획된 조직 범죄일 것이라고 원인을 확대 추론하는 경향을 보인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소규모의 피해만 발생했다면 음모론이 퍼지지 않았겠지만 피해가 커진 탓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
성 류구가 밝혀줄 태양계 형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3.28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을 주도한
소행
성 탐사선 하야부사2는 2018년 6월 류구
소행
성 궤도에 도착한 뒤 지난해 말 류구 표면에 일종의 탄환을 발사해 부딪혀 폭발하는 순간 튀어오른 암석 표본을 두차례 채집하는 데 성공했다. 하야부사2는 채취한 암석 샘플을 갖고 올해 말 지구에 귀환할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이사할 때 훅의 초상화를 잃어버려 훅의 공식 초상화가 전해지지 않은 것도 뉴턴의
소행
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뉴턴은 말년에 공직에 진출하기도 했었다. 계기는 당시 영국의 경제상황과 관계가 있었다. 가장 큰 문제는 그때 유통되고 있던 각종 은화를 사람들이 훼손해서 막대한 양의 은을 ... ...
외계행성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책임연구원은 "천문연도 VRO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라고 말했다. 이번 관측 결과는 국제
소행
성경보네트워크(IAWN)가 주관하는 보리소프 혜성 국제 공동관측 캠페인에 공유된다. 캠페인에 참여하는 기관의 12월 보리소프 촬영 일지를 보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메이븐(MAVEN), 허블우주망원경 등도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심우주로 유인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다가가 탐사를 하는 일에만 멈출 것이 아니라 그곳의 자원을 채취해 활용하거나, 또는
소행
성 등이 지구로 충돌하는 일을 방지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으려면 여러 국가의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는 마지막으로 “현재 무인 탐사선과 로봇을 보내고 있지만 우주 탐사의 궁극적인 ... ...
소행
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ureilite)라는 흔치 않은 조성을 갖는 종류로 확인됐다. 이듬해 ‘네이처’에 실린
소행
성 2008TC3의 충돌과 여기서 나온 운석을 분석한 논문은 20개 기관, 35명의 연구자가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렸는데 물론 제니스켄스 박사가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로 맨 앞에 이름을 올렸다. 참고로 지금까지 찾은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퉁구스카 사건이 반물질과는 무관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렇다면 유성체보다 훨씬 큰
소행
성이 폭발했는데 왜 흔적이 남지 않았을까. 명쾌한 답은 아니지만 설명할 수는 있는데, 충돌하는 물체가 어떤 물질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운석을 남기느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번 러시아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