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스페셜
"
셀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인공지능 챗봇 이미지 데이터 훈련 비용 최소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제거했을 때, 도파민 시냅스의 수가 감소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셀
리포츠'에 지난달 31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감종훈 환경공학부 교수, 박창균 전 환경연구소 박사 공동연구팀이 자가교정 유효가뭄지수(scEDI)를 기반으로 한 다중 모델 예측을 통해 가뭄을 전망하고 가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들어있는 단백질을 항원으로 인식해 작용한다(오른쪽).
셀
제공 지난 2021년 학술지 ‘
셀
’에는 ‘생물적 음식물 품질관리시스템’이라는 관점에서 음식물 알레르기를 다룬 논문이 실렸는데, 위의 여러 의문에 대해 꽤 그럴듯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동물은 영양분을 섭취하려고 먹이를 먹지만 ... ...
[과기원은 지금] UNIST, 해수전지 성능 대폭 향상시키는 '슈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사이클 성능이 4배, 출력 성능이 30% 향상됐다. 전압 간격은 20% 수준으로 감소했다. 대용량
셀
에서도 출력 성능이 15% 증가했으며 저항과 전압 간격이 각각 25%와 20%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서녈 퍼티리얼스'에 지난달 20일 게재됐다. ■ KAIST는 탄소중립 혁신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
셀
'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우선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료제에 대한 내성 가능성도 가늠할 수 있다. 싱글
셀
분석을 통해 확인한 DNA 정보와 기존 환자들의 축적된 데이터를 비교하면 내성이 발생할 확률 또한 예측할 수 있다.” -한국의 유전체 분석 기술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퇴적물 흐름, 입자 형태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4
퇴적물 흐름을 정확히 분석하는 모델 개발은 어렵다. 서로 다른 형태와 형질을 가진
셀
수 없는 숫자들의 입자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이 과제다. 에릭 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대기및행성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11일 네이처에 입자의 형태가 퇴적물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했다는 연구결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바꾸므로 그 자체로 이산화탄소를 소모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포도당 대신 전기화학
셀
에서 만든 C2를 먹고 PHA를 충분히 만드는 미생물이 있으면 어떨까. ● 전극 용액과 배양액 하나로 연구자들은 PHA 합성을 비롯해 각종 화합물을 만드는 세포 공장으로 널리 쓰이는 미생물인 수도모나스 푸티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무려 60경(京) 개나 된다. 정량 한계값은 분석기기로 그런 분자의 수를 얼마나 정확하게
셀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량 한계값보다 더 적은 양은 측정할 수 없다. 과학자들에게는 0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제도적으로 수질 관리의 책임을 지고 있는 대구상수도본부와 국립환경과학원도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교수 지도 없이 직접 네안데르탈인의 뼈를 구해서 연구해 '
셀
' '사이언스' '네이처' 등 저명한 학술지에 발표한 학자"라며 그를 "고유전체학의 대부"라고 평가했다. 특히 진화인류학이 처음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데 대해 "실용성이나 새로운 기술이 아닌 분야가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에티오피아 대학과 원자력공학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반도체의 치명적 한계점인 '낮은 점멸비'를 모두 극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
셀
'의 자매지인 '켐‘ 30일자에 게재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뉴바이올리지학과 김민석 교수 연구팀이 약물이 전무한 유전성 난치 말초신경병증인 샤르코마리투스(CMT)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전자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재조명받는 후각 연구
2022.08.09
냄새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회로가 그렇게 만들어진 것일까. 지난해 12월 학술지 ‘
셀
’에는 이 질문에 답하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보 처리의 첫 단계인 후각 뉴런에서 피로 현상이 일어난다. 포유류는 보통 1000여 가지, 사람은 400여 가지 냄새 수용체 유전자가 있고 각 뉴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