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상관"(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감과 책임감이 '도덕적 용기'를 높인다2024.12.14
- 낮은 것("이게 뭐가 나빠? 이 정도는 괜찮아")과 불안이 높은 성향은 도덕적 용기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도덕적 해리(moral disengagement) 또한 불의에 맞설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해리란 흔히 도덕적 정당화(예를 들어 "이 정도의 거짓말은 되려 유익할 수 있어"), 완곡어법 사용(예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 이겨내는 고난이 있을까2024.11.16
- 질병이나 우울증 같은 경우에도 사회적 지지의 존재 여부에 따라 기존 건강상태와 상관 없이 예후가 다르게 나타난다. 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을 29% 증가시키고 뇌졸중 위험을 32%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증의 주된 원인 중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또한 지나갈 것…비극적 낙관주의 2024.10.19
- 심하게 느낀 사람들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비극적 낙관주의가 행복과 더 큰 상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울 때일수록 그 어려움을 받아들이지만 여전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아닐까? 크게 힘들지 않을 때에는 대충 다 잘 될 거라는 안일함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2024.10.12
- 부상 정도와 개인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 통증으로 인해 느끼는 불행 사이에 생각보다 큰 상관이 없다는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같은 부상을 입어도 어떤 사람은 아직 버틸만 하다고 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삶의 희망을 잃을 정도로 큰 영향을 받는다. 비처는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돌아온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2024.10.05
- 옷을 입으면 '사실'보다 더 강한 설득력을 보이는 현상도 나타났다. 또한 도덕과 전혀 상관 없는 '자주', '시도하다' 같은 단어들에 역겨운 감정을 연결시키고 그 단어를 사용해서 어떤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면 그렇지 않았을 때에 비해 더 해당 인물을 비도덕적으로 여기게 된다는 연구 결과도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중국산 용품 유해물질 '기준치', 자동차 '제한속도'와 같아2024.09.25
- 기준치가 달라야 할 이유는 없다. 유해 물질의 인체 위해성은 인종·민족·국가에 상관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준치의 결정에는 다양한 '사회적 비용'도 고려한다. 기준치를 지나치게 낮게 설정하면 사회적 비용이 늘어난다. 생활용품의 생산비가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지만 유통을 감시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이해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나의 일부'가 된다2024.08.17
- 둘러싸여 있는 사람이 외롭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 관계의 '양'은 외로움과 큰 상관이 없다. 이보다는 관계의 '질'이 더 중요해서 한 두 명일지라도 내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또 나를 잘 이해해주는 사람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가 크게 달라진다. 외로움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2024.08.03
- 필요가 있다. 어떤 정보나 주장이 나와 직접적인 상관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크게 상관 없는 것인지 (유명인의 사생활, 조직 내에서의 가십거리, 타인에 대한 험담 등), 정말 중요하고 사실이어서 관심을 갖는 것인지 아니면 내가 사실이라고 믿고 싶은 것인지 (잘못된 건강 정보, 일확천금에 관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2024.07.13
- 강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주었을 때 사람들은 이게 실제 자신의 특성인지 아닌지와 상관 없이 자신의 것이라고 들은 특징이 더 중요하고 귀하다고 반응한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포인트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자신의 성격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바넘이펙트라고 불리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2024.06.15
- 경향이 있다고 한다. 사람들은 상대가 실제로 자신의 이야기를 얼마나 잘 경청했는지와 상관 없이 자신과 의견이 다르다면 그 사람이 자신의 이야기를 잘 경청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대로 자신과 의견이 같다면실제로는 경청하지 않았지만 경청했다고 평가했다고 한다. 많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