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스페셜
"
사멸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루게릭병(근위축측삭경화증)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knock-out mouse)를 교차 교배시켜 세포 내 MST1 발현을 인위적으로 억제하면, 운동성 신경세포
사멸
과 행동장애, 그리고 생존률 감소가 현저히 회복됨을 알아냈다. 루게릭병 모델 쥐에서 보여지는 카스파아제의 활성화 및 자가포식도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루게릭병 모델에서 MST1 ... ...
줄기세포의 노화 및 스트레스 조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7.19
보다 약 40% 높았으며, 증가된 활성산소는 조혈줄기세포의 세포주기를 억제하여 결국
사멸
에 이르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로 TXNIP가 결핍 생쥐에게 항산화물질을 투여하였을 때 활성산소를 낮춰 조혈줄기세포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TXNIP가 결핍된 생쥐에 암을 유발하였을 때 ... ...
신기술 창업의 성공 요인 분석
KOITA
l
2013.05.30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많은 신기술 창업 기업들이 창업과 더불어 단 시간내에
사멸
하는 미국의 경우도 신기술창업 기업들이 성공에 이르기까지 평균 7년이 소요된다는 통계가 있다. 신기술 창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창업자가 불굴의 정신(확고한 결의)을 가지고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하루하루 ... ...
에탄올성 치매에 효과적인 천연물질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뇌기능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힌 연구로써, 에탄올성 치매에 대한 안토시아닌의 신경세포
사멸
보호 기작이 GABAB 수용체 신경세포내 시냅스 신호전달에 의해 조절됨을 세계 최초로 밝혀, 향후 부작용이 없는 뇌기능 조절에 의한 신경세포 보호물질 개발 및 치매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게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발생했으며, 두드러기와 구토 증상으로 고생했다는 것. 이후 항생제를 먹어서 위 속 균을
사멸
시킴으로써 이런 증상들도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 “위암 백신 곧 선보일 것” 최근 마셜 교수는 헬리코박터 균을 통해 인종의 진화 추이와 위암 백신 개발 연구를 하고 있다. 그는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