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합리
부정
부정행위
부조리
스페셜
"
비합리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
2020.10.22
과학자의 탄생’, 한겨레21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45899.html -노벨과학상의
비합리
성에 관해선 다음 글들을 참고할 것. 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17/10/the-absurdity-of-the-nobel-prizes-in-science/541863/ The Absurdity of the Nobel Prizes in Science https://galileospendulum.org/2016/10/03/dethroning-the-nobel-prize/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용 불안정이 갈라놓는 현실
2020.09.12
가리운 나머지 눈 앞의 문제를 피하려고 삶에서 더 중요한 것들을 구렁텅이에 처박는
비합리
적인 행동도 서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잘 활용하면 생존률을 높여주지만 자칫 잘못 사용하면 장기적인 시야를 잃게 만드는 것이 부정적 정서다. 화의 경우 역시 분노에 눈이 멀어 미래를 생각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거품 터지는 현상 설명하는 새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아래 방향으로 움직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중력이 이를 주도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비합리
적이지 않았다”며 “하지만 막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면 표면장력이 실제로 중력보다 훨씬 크다는 걸 알 수 있고 그래서 실제 중력의 힘을 시험하기 위해 실험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것”이라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루머와 음모론이 건강을 해친다
2020.03.28
실제로 숨겨진 배후나 실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든 음모론이 틀렸다거나
비합리
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어느 정도 과학적인 설명이 존재하거나 또는 아직 확실한 증거가 부족한 상황, 또 현재처럼 불확실성과 불안, 적대감이 팽배한 상황에서는 잘못된 정보와 그로 인한 잘못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재기는 공공보건을 위협한다
2020.03.14
얻으려는 본능은 문제 해결의 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큰 장점이면서 때로는
비합리
적이어 보이는 행동을 낳는 주 원인이다. 패닉 소비 또한 이런 불안 해소 과정과 맞닿아 있다.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에 뭔가 대비하긴 해야겠는데 딱히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손 씻는 일은 너무 평범해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
2020.02.01
중화요리도 시켜 먹지 않는다고 한다. 터무니없는 불안이지만, 인간이 원래 이렇게
비합리
적이다. 그런데도 강력한 본능적 불안을 견디며 감염 환자를 근거리에서 치료하는 의사와 간호사가 있다. 그들이라고 왜 불안하지 않겠는가? 최전방에서 싸우는 의료인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과 보호 대책,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황 교수는 일부 학자들이 홍채진단법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우연한 상황에 의존하는
비합리
적인 방법"이라며 "의학계에서는 여러 연구를 통해 이미 홍채를 통한 건강 진단이 의학적으로 가치가 없음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지금보다 의학이 발달하지 않은 수백 수십 년 전에는 의사들이 홍채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익명성이 보장되는 논문 심사위원들도 이름이 공개되었으면 하지도 못할 말도 안되는
비합리
적인 이유로 논문을 공격하고, 때로는 저자들을 모욕하는 표현까지 쓰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런 익명성의 문제가 심각해지자 논문저자와 심사위원 모두를 익명으로 하자는 이중맹검 심사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2019.09.25
인종차별 과학계의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논문심사위원의 평가는 점점 더 공격적이고
비합리
적으로 변해가는 중이다. 과학계에서는 이를 농담처럼 “세번째 심사위원”이라고 부른다. 논문은 보통 세 명의 심사위원이 평가하는데, 항상 논문을 물어 뜯는 한 명의 심사위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넛지’가 도처에 있다(주로 사람들이 돈을 더 쓰게 만드는 게 목적). 책에는 사람들이
비합리
적인 선택을 하는 수많은 예들이 소개돼 있는데 ‘이 정도인가’ 싶을 정도로 기가 찬 경우가 많다. 3장 ‘인간은 떼 지어 몰려다닌다’에서 저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기대한다고 생각되는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