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평
평론
비난
논평
비평문
스페셜
"
비판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평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DPI를 비롯한 오픈액세스 출판기업들이 '논문공장'이라는
비판
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오늘날 MDPI는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오픈액세스 출판기업으로 확실하게 자리를 잡았다. MDPI의 상업적 성공도 놀라운 수준이다. MDPI의 주된 수입원은 500스위스프랑(약 74만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과학기술계가 국제협력을 외면해 왔다는 날 선
비판
도 쏟아진다. 우리 과학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갈라파고스’처럼 고립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노벨 과학상을 받지 못했다는 지적이라면 모르겠지만 첨단 기술 시장에서 우리 과학기술이 갈라파고스라는 지적은 듣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
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적이고 스스로에게 가혹한 부모 -> 자녀를 향한
비판
적인 태도 -> 완벽주의적이고 스스로에게 가혹한 자녀 -> 자녀의 연인을 향한 낮은 신뢰와 부정적인 태도”의 싸이클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스로에게 높은 기준을 들이밀고 가혹한 사람들이 결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질량이 같은 미지의 입자가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랙은 즉시 오펜하이머가
비판
하는 바의 중요성을 알아차리고 이듬해 발표한 논문에서 “실험물리학에서 아직 밝혀내지 못한 새로운 종류의 입자로 전자와 동일한 질량과 전하량(절대값)을 지녀 반전자(anti-electron)라고 부를 수 있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실패를 용인한다’는 것이 바로 그런 뜻이다.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비효율에 대한
비판
은 창조형 과학기술을 포기하겠다는 뜻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퍼주기 예산은 국제협력이 아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연구기관과 함께 연구를 수행하면서 우리 신진 연구자들이 경쟁력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아니다. 올바른 과학적 태도는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하여 항상 열린 마음과
비판
적 사고를 가지고,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함으로써 과학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Philip Stokes. 100 Great Philosophers Who Changed the World. Arcturus. 2021 2. 에브 퀴리. 아름답고 평등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
2023.04.25
그의 명성을 더 크게 할 수 있는 기회를 막은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윤리적으로 큰
비판
을 받아 마땅할 그의 연구가 다른 연구자들에 비해 조용하게 진전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전성기를 보낼 때의 소련이 외부와 어느 정도 차단된 사회였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
2023.04.04
발휘했다. 정부가 내놓은 거의 모든 방역 정책에 대한 선무당급 전문가들의 날선
비판
이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K-방역의 핵심이었던 마스크 착용에 대한 괴담도 심각했다. 물론 KF94 마스크의 공급에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했다. 마스크가 완벽한 방역 수단일 수는 없다. 마스크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도 학계 후배인 보어(Niels Bohr)가 양자 이론을 발표하자 수많은 트집을 잡아가면서 이를
비판
했다. 보어도 제너처럼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업적을 인정받아 죽기 전에 최고의 학자로 대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다. 세균의 존재를 모르고 있던 19세기 중반, 분만 후에 ... ...
[논문감시] 참여 연구자 모두 놓친 원자력의학원 실험 조작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것”이라 말했다. 참여저자와 해당 조직의 장, 기관 모두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비판
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김 연구원은 퇴사 상태다. 지난해 하반기에 퇴사했다. 원자력의학원 측은 실험 조작이 적발된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 연구 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했다는 입장이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