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루
파우더
파우
알루미늄분말
알루미늄
분
고운 가루
스페셜
"
분말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열전도도 2배 높인 전기차 배터리 방열소재로 시장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국내 세라믹 업체들은 수급 불안정에 시달려 왔다. 한 책임연구원은 “산화마그네슘
분말
의 원료인 백운석은 국내에 풍부하고 바닷물에서도 원료를 얻을 수 있다”며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수급받고 국내 기술을 통해 고성능 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재료연이 개발한 ... ...
3D프린터로 출력한 환자 맞춤형 인공뼈로 뼈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금속 3D프린팅 방식 중 하나인 ‘전자빔 융용법’을 적용했다. 전자빔 융용법은 합금
분말
을 전자빔으로 녹여 임플란트의 모양을 잡는다. 연구팀은 제조한 임플란트를 60세 뼈암 환자에 사용한 결과, 환자는 무릎관절 절제없이 성공적으로 뼈암 치료를 마쳤다. 수술 6주 만에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 ...
누리호 개발하는데 고체 우주발사체 왜 개발할까
2021.06.28
있는 공간에 불을 붙이면 급격한 연소가 일어난다. 연소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
분말
을 넣기도 한다. 연소가 시작되면 고온·고압의 가스가 배출되고 이를 통해 수십kg에서 수천kg에 이르는 위성과 화물을 우주로 실어나르는 추력을 얻는다. 한번 연소가 시작되면 연소실의 고체 연료를 모두 ... ...
[동일본대지진 10년]지금도 한반도 바다 32곳에선 그날 흔적을 쫓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세슘137의 농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분말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분말
로 만들고 나면 노란색을 띤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제공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발간한 ‘2019 해양환경방사능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이렇게 분석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표층해수에서 세슘137 농도는 ... ...
'에이즈 백신의 아버지' 피터 김 교수, 1회 접종 '나노입자 코로나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0
운송 가능한 백신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연구팀은 이 백신을 동결건조 형태로 저장해
분말
형태로 상온에서 보관할 수 있는지 분석중이다. 김 교수는 “우리 목표는 저장이나 운송을 위해 콜드체인이 필요하지 않은 단일 백신을 만드는 것”이라며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 이를 공급하는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반응하지 않고 가벼운 신소재로 재탄생시켰다”며 “일본에서 생산하는 산화마그네슘
분말
이나 과립보다 성능은 훨씬 뛰어나고 가격은 4분의 1가량 낮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국내 특허를 출원했고, 미국과 일본에서도 특허 출원 중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품 형태로 가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MOF는 특성상
분말
이나 미세결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만들려면 접착 물질로 입자를 붙여야 한다. 그런데 접착 물질이 MOF의 구멍을 막아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올레핀연구팀은 ‘하이브리드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미국에서는 2001년 9.11테러 직후 우편물을 이용한 탄저균 테러가 있었다. 미세한 포자가
분말
이나 스프레이로 퍼질 수도 있고 물이나 음식 속에도 들어갈 수 있으며 냄새나 맛도 없어 감지하기 어렵다. 탄저균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지난 2015년 미군 연구소가 살아있는 탄저균을 주한미군에 ... ...
[과학게시판] GIST-MS 창업도약 지원사업 ‘마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역할을 맡는다. 이번에 재료연에서는 철강재료연구실과 알루미늄연구실이 N-LAB으로, 금속
분말
협의체가 N-TEAM으로 추가 지정됐다. 이로써 재료연구소는 총 4개의 N-LAB과 1개의 N-TEAM을 보유하게 됐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가 2020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 ...
'소재·공정·부품·조립 협업' 이끌어 세계 선도하는 '뿌리기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내 가장 큰 연구조직의 수장이자 동시에 희소금속 재활용과 금속소재
분말
기술을 연구하는 소재 전문가다. 그는 “하지만 이젠 기업에도 역량이 생겼고 산업 환경도 변했다”며 “소재와 공정, 부품, 조립 등 각 분야가 협업할 수 있게 틀만 만들어주면 우리도 선도기술을 만들 수 있게 된 상황에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