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배지"(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에서 탄생한 ‘인공모유’ 분유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동아사이언스 l2020.09.19
- 있다. 한계와 논란 두 스타트업 모두 제품의 상용화가 목표다. 그러나 세포 배양 배지와 바이오 반응기 등 시스템을 갖추는 데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상용화된 조제 분유 가격만큼 값싸게 공급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이와 관련 터틀트리는 초기 약 170달러(약 19만원)에 1리터를 생산했지만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 탄저균과는 달리 살아있는 동물 체내에서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코흐는 특별한 배지를 만들어 결핵균 배양에 성공했고, 그렇게 배양한 균이 결핵을 일으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후 코흐는 콜레라균을 발견해 그 성질을 연구해서 어떤 경로로 감염되는지도 규명했다. 코흐는 결핵균을 ...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제이엘케이-닥터넷, 일본 진출 협력관계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0.08.05
- 지난달 31일 전환사채 120억원 발행을 공시했다고 4일 밝혔다. 60억원은 미생물 배양배지 등 기존사업 강화에, 나머지 60억원은 기존 대출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한다. 이번 전환사채에는 IBK캐피탈, 산은캐피탈, 신한캐피탈 국내 캐피탈 3사가 참여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디지털 시대의 과학출판혁명 2020.05.21
- 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배지가 가능하며, 이처럼 다양한 측면의 평가를 상징하는 배지들을 통해, 앞으로 연구자의 논문은 학술지의 영향력이 아니라, 논문의 내용을 통해 평가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과학자들은 논문이라는 화폐를 통해 평가받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의 학술출판체계를 ... ...
- 코로나바이러스 에어로졸에선 3시간 넘게, 플라스틱 표면에선 3일까지 산다동아사이언스 l2020.03.18
- 분사 뒤 3시간 뒤에도 약 15.8%까지 바이러스가 남아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험실에서 배지 속 세포의 절반을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 농도를 TCID50이라고 하는데, 이 값이 66~72분마다 절반씩 떨어졌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 역시 같은 비율로 감소했다. 에어로졸 상태로 오래 남는 바이러스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방법2020.02.29
- 하여금 위의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가짜뉴스를 퍼트리고 많은 영향력을 얻을 때마다 배지를 수여했다. 예컨대 감정 자극하기 전략의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공략하고 싶은 감정을 선택하고 그에 해당하는 자극적인 이미지를 고를 수 있다. 성공하면 팔로워 수가 늘게 된다. 게임형식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 대표하는 271가지 분자를 골라 모든 경우의 수(76×271)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했다. 배지에 박테리아 한 균주와 약물 한 가지를 넣어 배양한 뒤 약물의 농도변화(대사 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적어도 한 가지 박테리아에 의해 대사돼 농도가 20% 이상 줄어드는 약물이 271가지 가운데 3분의 2인 17 ...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동아사이언스 l2018.12.19
- 않는다. 미 공군과 NASA는 고도 80㎞ 이상 오른 비행사에게 우주 비행사라고 인정하는 배지를 수여하고 있다. ●우주 경계를 정해야 분쟁 피할 수 있어 시에라네바다코퍼레이션(SNC)의 우주선 ‘드림체이서’. 다양한 민간업체들이 우주개발에 나서며 우주 경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먹이 선호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녀석들이 저농도의 트레할로스가 유일한 먹이인 배지에서도 증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염기서열이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게놈 1010개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찾기로 했다. 트레할로스 오페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이렇게 찾은 쪽의 당전이효소를 대장균에 집어넣었다. 트립토판이 잔뜩 들어있는 배지에서 이 대장균을 배양시키자 배당체인 인디칸을 만들어냈다. 한편 또 다른 대장균에는 박테리아 바실러스(Bacillus circulans)의 배당체가수분해효소(BglA)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즉 대장균 한 균주는 인디칸을 다른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