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스페셜
"
미생물
"(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틈새에 액체 금속·셀룰로오스 넣어 강력해진 나노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쿤펑 청 중국 베이항대 화학과 교수팀은
미생물
셀룰로오스와 액체 금속을 맥신 나노시트 사이의 빈 공간에 추가해 고성능 재료로 조립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4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상온에서 맥신 나노시트 층 사이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인체의 저장 능력이 새로운 생활습관병을 유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20세기 중반 이후
미생물
감염에 의한 급성질환이 줄어들면서 만성질환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만성질환의 특징은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생활습관의학"이라는 용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물속에 사는 단세포성
미생물
인 조류(藻類)의 내부를 엑스선(X-RAY)으로 촬영한 모습을 실었다. 표지에 등장한 조류는 '브라루도스파에라 비겔로위'란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1억년 전부터 지구에 서식했다는 화석 증거가 남아있다. X-RAY 단층 촬영을 통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주 표지로 마이크로바이옴(체내
미생물
)이 인간의 작은 세포에 붙어있는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를 실었다. 표지에 나타난 마이크로바이옴과 세포 주위에는 부유물이 떠다니며 이 두 요소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모습을 표현했다. 표지에는 '밀접한 관계(CLOSE CONNECTIONS)'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밤새 열이 많이 났고 통증과 붓기도 더 심했다. 파레는 몰랐지만 달걀흰자에는
미생물
의 증식을 억제하는 라이소자임(lysozyme)이 들어 있으므로 좋은 선택이었다. 파레가 쓴 총상 치료에 대한 논문은 프랑스어로 씌어졌으므로 당시에 국제어라 할 수 있는 라틴어보다는 파급효과가 적었다. 그래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곪는 것이
미생물
이 증식하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산욕열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것은
미생물
이 자라서 패혈증에 이르기 때문일 것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훌륭한 착상이었지만 리스터는 문제제기만 정확히 했을 뿐 해결책을 제시할 능력은 없었다. 그래서 수술후 발생하는 이차감염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들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때는 이미 광우병이 세균이나 바이러스같은
미생물
병원체가 아니라 단백질에 의해 감염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에 이명박 정부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을 체결하면서 미국산 쇠고기를 수입하기로 결정한 것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불치의 병 결핵을 치료할 수 있는 최초의 약이었다. 1949년에 러트거스대에 설립된
미생물
학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왁스먼이 임명되었다. 그는 자신이 발견한 항생물질에 대한 이익금의 많은 부분을 이 연구에 사용했다. 왁스먼은 스트렙토마이신 발견의 공로를 인정받아 195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이종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다. 주로 식물과 이를 먹이로 삼는
미생물
이나 동물 사이의 속고 속이는 화학전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국내 화학생태학자로는 김상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가 떠오른다. 이동을 할 수 없는 식물은 자기방어를 위해 각종 독성물질 대다수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발견한 플레밍의 행운 1901년 세인트매리의대를 졸업한 플레밍(Alexander Fleming)은
미생물
연구를 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패혈증 등 각종 감염병으로 생명의 위협을 받는 부상병을 대하면서 감염질환 해결에 투신하기로 결심했다. 1918년에 세인트매리병원으로 돌아간 그는 1922년에 사람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