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현
서술
기술
특징짓기
그리기
표시
스페셜
"
묘사
"(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인상이 완벽한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2024.06.22
거는 일이 잦았고, 상대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려고 했으며, 거짓말을 많이 했다고
묘사
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사람들은 나르시시스트인 연인은 그렇지 않은 연인에 비해 처음 만나고 나서 이후의 인상이 크게 달라졌으며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있지 않을까. 말 못 하는 아기들과는 달리 이들은 수술 뒤 시지각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묘사
할 수 있고 시력을 테스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산하 교수는 큰 기대를 하지 않고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연구비를 신청했는데 다행히 뽑혀 '프라카시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프라카시(prakash)는 빛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 수준에서 관찰한 감귤 오일 형성 과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2.11
글자와 함께 오렌지 빛 감귤류 과일의 오일 분비선에서 터져 나오는 기름을
묘사
한 이미지가 실렸다. 감귤류 과일은 상큼하고 달콤하고 신선한 향을 낸다. 과일에 든 에센셜 오일 덕분인데 향료 산업에서 실용적 가치가 높다. 페이 장 중국 화중농업대 박사 연구팀은 8일 사이언스에 감귤류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높은 질량을 가진 어린 별이 형성되는 과정을
묘사
한 일러스트를 실었다. 어린 별은 자신을 둘러싼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원반 모양 구조에서 떨어져나온 물질과 붙으면서 자신의 몸체를 키운다. 안나 맥로드 영국 더럼대 외부은하 천문학 센터 박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이뤄진 표피나 심지어 진피까지 모종의 생화학 메커니즘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묘사
하고 있는데 약간 넌센스다. 우리가 화장품을 쓸 때 ‘피부로 느끼는 효과’는 결국 죽은 세포인 각질층에 물리 메커니즘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이기 때문이다. ● 피부 당김도 촉각? 한 세대 전 생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니콜라스 마스의 유화 작품 ‘채소 가게’(1655-65). 당근이 옅은 노란색과 자주색으로
묘사
돼 있다. 원예연대기 제공 오늘날도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는 이런 재래종 당근을 재배하고 있는데 이를 ‘동양 그룹’으로 부른다. 서아시아에서 작물화된 당근은 동서로 퍼져나갔고 16세기 스페인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빨간색과 파란색의 블록으로 이뤄진 인간의 모습을
묘사
한 그래픽을 실었다. 표지 왼편에는 '병을 일으키는 성질을 예측한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인간이 가진 유전자는 약 2만개다. 수만 개의 유전자에서 발생하는 변이와, 변이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허술함이 오히려 장점인 셈이다. 대장균 세포의 단면을
묘사
한 그림으로 위층이 세포 바깥쪽의 세포벽이고 아래층이 세포 안쪽의 세포막이다. 세포막에 박혀있는 단백질인 MraY(녹색)는 세포벽의 성분을 만드는 효소로 파이X174의 단백질E(노란색)가 달라붙으면 활성을 잃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데이터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고 엉뚱한 방향으로 고집을 부린 히스테리컬한 인물로
묘사
했다. 돌이켜보면 프랭클린은 10년 전 불과 37세의 나이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난 상태여서 왓슨에게는 책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부담 없이 넣을 수 있는 양념이었던 셈이다. 알다시피 영국 케임브리지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매머드, 현대 코끼리처럼 '광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0
살았던 코끼릿과 동물 매머드는 거대한 크기와 위협적인 엄니를 자랑한다. 표지에
묘사
된 두 마리의 매머드에게도 긴 엄니가 달려 있다. 코끼릿과 동물 수컷에게는 독특한 습성이 있다. 발정했을 때 아주 광포한 상태로 변한다는 것이다. 이를 ‘머스트(musth)’라고 한다. 머스트는 힌디어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