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스페셜
"
모양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전기차 화재' 9월 종합대책, 기대되지 않는 이유
2024.08.14
지상으로 옮기는 곳도 있다고 한다.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시들해지는
모양
이다. 전기차 판매가 줄고 중고차 시장에 나오는 전기차도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친환경차'로 알려진 전기차를 통째로 거부하는 '포비아'(혐오즈)가 확산하는 조짐도 보인다. 자칫하면 미래 지향적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했던 많은 저항을 받지 않은 채 골격 검사, 이물질 유무 검사, 인체 내부 장기의 움직임과
모양
검사, 동물학과 식물학 연구 등에 널리 이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의학에서 다리나 팔을 부딪히거나 관절에 충격을 받은 경우 병원에 가면 “일단 사진이나 한 장 찍어 어떤 이상이 생겼는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년 전 살았던 오늘날 원핵생물 수준의 복잡성을 지닌 생명체라고 추측했다. 루카는 막대
모양
의 세포로 우드-융달 경로로 이산화탄소와 수소에서 아세틸CoA를 만들어 생체분자의 재료로 쓰거나 에너지를 얻는다. 루카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ribosome)이 있고 바이러스(파지)의 침입에 대응하는 초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룡시대 전 '변기
모양
머리' 포식자 번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0
60cm 길이의 두개골이다. 연구팀은 "가이아시아의 머리는 크고 평평하며 납작한 변기
모양
"이라며 "입을 벌려 먹이를 빨아들일 수 있는 형태를 지니고 있었고 거대하고 강력한 송곳니도 있었다"고 말했다. 사냥꾼인 가이아시아는 악어처럼 호수와 늪에서 표류했으며 뱀장어처럼 헤엄쳤을 것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함께 학교 현장에서 사라져 버렸다. 그렇다고 디지털 교과서의 꿈을 포기할 수는 없었던
모양
이다. 어쩔 수 없이 교육부를 떠난 이주호 장관이 회원 57명과 함께 창립해서 2022년 11월 장관 취임 때까지 이사장직을 맡고 있던 '아시아교육협회'를 디지털 교과서의 꿈을 키우는 새로운 무대로 만들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연구자들은 젤라틴(gelatin)과 DNA를 4대 1의 비율로 따뜻한 물에 잘 녹인 뒤 납작한 벽돌
모양
의 틀에 부어 영하 196℃인 액체질소에서 급속 냉동한 뒤 아주 낮은 압력에서 말렸다.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결과 DNA와 젤라틴 혼합물인 3차원 그물망으로 이뤄진 전형적인 에어로젤 구조가 나타났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화하는 알파폴드…단백질-생체분자 상호작용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제공 다양한
모양
으로 접힌 단백질이 모여서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한가운데 있는 거대한 DNA를 포함해 RNA 등 다른 생체분자들도 보인다.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 실린 이미지다. 네이처는 단백질의 3차원(3D) 구조를 예측하고 모델링하는 인공지능(AI) 도구 '알파폴드(AlphaFold)'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아무리 정확히 자르려 해도 1mm를 자르는 건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종이도 아니고 3차원
모양
을 하고 있는 사람의 몸에서 1mm를 잘라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로봇에는 아주 많은 종류가 있으며 의료용 로봇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이 할 수 없는 미세한 수술을 하기 위해 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생겨도 밴드를 붙이는 것은 그 부위로 병균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상처 부위가 원래의
모양
처럼 잘 아물게 하기 위해서다. 수백년 전에는 밴드 대신 나뭇잎이나 천으로 가리기는 했지만 상처가 큰 경우에는 뜨거운 기름을 붇거나 인두 등을 이용하여 불로 지져 혈관을 막아 버렸다. 언제부터 뜨거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생산할 수 있지만 세균이 들어가면 부패하여 포도주가 썩는 현상을 발견했다. 또 백조목
모양
의 플라스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생물체가 자연발생하지 않음을 증명했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물체,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코흐는 1876년에 탄저를 일으키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