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전
현금
통화
화폐
머니
현찰
비용
스페셜
"
돈
"(으)로 총 4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실명으로 이어진 결과다. 이 가운데 치료가 안 되는 유형도 있겠지만 대다수는 수술할
돈
이 없어서다. ● 실명 어린이, 인도에만 40만 명 파완 신하 미국 MIT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인도 출신으로 뉴델리에서 대학을 나온 뒤 미국으로 유학해 학위를 받고 교수로 눌러앉았다. 시각의 신경과학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
2024.02.03
모습도 자주 보인다. 또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비윤리적인 방법으로라도
돈
과 명예,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요소들을 수집하려고 애쓰는 편이다. 무엇이 이들로 하여금 자신은 남들보다 특별하며 더 좋은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렇게 자기 존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축구 전문가는 물론 언론도 기대득점의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했다. 베팅 산업으로
돈
을 번 매튜 벤엄은 브렌트퍼드의 열렬한 팬으로 2012년 재정 위기에 빠진 구단을 인수했다. 벤엄은 통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감에 의지한 전통적인 방식을 고집하던 코치진과 갈등하다 결국 감독을 해고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얼마나 공평하게 나눈 것 같냐고 묻는다. 그러자 본인의 기준에서도 불공평한 적은
돈
을 나눈 사람들이 공정하게 나눈 사람들에 비해 더 자신의 공정함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공정하지 못하게 타인의 몫을 가로챈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자신은 공정하게 행동했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과학기술특위, 연구개발예산 간담회. 연합뉴스 제공 과학기술이
돈
만 쓰고 성과는 내지 못하는 ‘비효율의 끝판왕’이라는 위험한 억지가 기정사실로 굳어지고 있다.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는 GDP 대비 4.9%로 세계 최고인데 정작 과학기술 성과는 꼴찌인 현실을 ‘코리아 패러독스’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칠해 보니 당근이 그럴듯해졌다. 화가들이 마음에 드는 물감을 사려고 기꺼이 비싼
돈
을 들이는지 알 것 같았다. 사실 내가 갖고 있던 물감으로도 느낌은 좀 덜하겠지만 당근의 정체성을 주기에는 충분할 것이다. 그런데 당근을 옆에 있는 고구마의 자주색이나 감자처럼 노르끼리한 색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1897년에 X선에 대한 자신의 연구결과를 담은 책을 발표했고 다이너마이트를 발견하여 큰
돈
을 번 노벨(Alfred Nobel)의 유언에 의해 제정된 노벨상의 첫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뢴트겐이 발견한 X선은 신비스럽게 손을 뚫고 나와 유리판에 뼈의 모양만 선명하게 비춰 주었다. 또 인체 내부를 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빈도로 더 강하게 등장하는 태풍 등 기후위기로 몸살을 앓았다. 하지만 아직도 영화 '
돈
룩업(Don’t look up)'에 등장하는 재앙의 존재를 무시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처럼 기후위기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어떻게든 잘 될 거라는 안일함을 보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또 어떤 사람들은 이미 할 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패스트 팔로어 시대에나 어울렸던 낡고 퇴행적인 인식이다. 선진국의 최고 연구기관이
돈
보따리만 들고 가면 누구에게나 연구개발 현장을 체화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기대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연구개발의 현장을 무시한 억지일 뿐이다. 중국의 활발한 국제협력을 부러워하는 듯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그간 우리 사회가 이타적이고 친절한 사람들을 제대로 대우하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돈
을 받았으니 당연히 과도한 요구도 받아들여야 한다거나 또는 여성이라면 엄마라면 당연히 희생해야 한다고 하는 등 각종 사회적 족쇄를 통해 착취를 정당화해온 것은 아닐까. 결국 아무 것도 돌아오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