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답
대답
회답
정해
정답
해제
합계
스페셜
"
답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당기는 느낌이 바로 사라질 수 있을까. 최근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 넥서스’에 그
답
을 알려주는 논문이 실렸다. 요약하자면 대기 건조나 씻을 때 비누 같은 세정제 사용으로 수분이나 지질이 빠져나간 각질층이 수축하며 생긴 변형력을 감지한 촉각수용체가 신호를 전달해 피부가 당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관점에서 음식물 알레르기를 다룬 논문이 실렸는데, 위의 여러 의문에 대해 꽤 그럴듯한
답
을 제시하고 있다. 동물은 영양분을 섭취하려고 먹이를 먹지만 독소나 병원체가 함께 들어올 위험성이 늘 있다. 따라서 이를 피하려는 다양한 품질관리시스템이 진화했고 알레르기 반응도 그 가운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어떻게 버텨? 약으로 해결하면 될 걸 주변 정상조직까지 제거하다니 불과 20년 전에 참
답
한 의사들이 많았군!”이라며 혀를 찰 가능성도 있다. 비만을 해결하기 위한 체중조절약은 발전할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의학의 밝은 미래를 기대하며 요즘 기후위기가 전세계인들에게 가장 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그냥 그 사람이 수학을 못 하는 것이라고 개인의 문제로 해석한다. 또한 우리는 어떤
답
을 알고 나서야 ‘내 그럴 줄 알았다’고 말하는 ‘후견지명’에도 능한 동물이다. 여기에 각종 자기 고양, 내집단 편향 등으로 인해서 같은 일도 자기가 하면 로맨스고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식의 해석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참고문헌 1. Philip Stokes. 100 Great Philosophers Who Changed the World. Arcturus. 2021 2. 에브 퀴리. 아름
답
고 평등한 퀴리 부부. 장진영 역. 동서고금. 2000 3. 노벨재단 홈페이지(nobleprize.org)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되어 연구원들과 학생들을 지도하는 입장이 된 지금에도 가끔 스스로에게 묻고 대
답
을 되뇌이게 할 정도로 아직 큰 울림을 주고 있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수 있다' 인정 못하는 이유
2023.06.24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왜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보다 이제라도 올바른
답
을 알게 되었다는 데에 더 기뻐하는 반면 어떤 이들은 자신이 틀렸을 가능성을 용납하지 못하게 된 걸까. 한 가지 단서는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그것에 한정해서 생각하는지 아니면 '나'라는 사람 자체가 ... ...
[주말N수학] 나란히 의대 입학...수학 상위 1%의 비밀무기는
수학동아
l
2023.04.22
넣어서 월말에 뺀다고 바꿔서 계산할 수 있어요. 그렇게 문제의 특정 부분을 포착해서
답
을 쉽게 구하는 일반화 법칙을 개발하고 다른 친구들에게도 가르쳐줬어요." 수학동아DB 권태영 X 김동우, 수학동아 제공 Q. 둘이 같이 공부할 때 있었던 재밌는 일화가 있나요. 김동우 "태영이랑 저는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않았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장-뇌축 연결의 정체를 찾는 연구들을 통해 조금씩
답
을 찾아가는 듯 하다. 미국 예일대(Yale University) 라티그(Guillaume De Lartigue) 교수와 남캘리포니아대(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카노스키(Scott E Kanosky) 교수 연구팀은 2018년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 ...
[논문감시] 한국 저명 심장학자 논문 2건 철회..."학계 관행" 옹호 주장도
2023.02.10
철회가 된 논문. 연세의학저널 홈페이지 캡쳐 박희남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가 교신저자와 2저자로 참여한 논문 2건이 지난 1월 철회된 것으로 확인됐다. 교신저 ...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다. 리트랙션워치 측 역시 박 교수에게 연락했으나
답
이 없다고 밝혔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