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스페셜
"
단위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
IBS
l
2016.02.02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를 사용하지만, 주파수가 페타(1015)헤르츠(PHz)
단위
를 넘어갈 정도로 주기가 짧은 빛의 파형을 측정하려면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윤 연구위원은 "광학에서 빛의 파형을 측정하는 것이 연구목표"라며 "이와 같은 초고속 광학 분야는 아토과학이 고체 분야에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
IBS
l
2015.12.30
도입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은데요. 스타게이트를 통해 이동한 사람이 양자
단위
로 분해된다는 언급이 나오기도 합니다.” 스타게이트가 개봉한 1994년은 미국 IBM의 찰스 베넷이 양자전송 이론을 발표한 바로 다음 해였다. 시기적으로도 스타게이트가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했다는 추론을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
IBS
l
2015.12.28
그리스어 나노스(nanos)에서 그 이름을 딴 나노(nano)는 10억분의 1(보통 10-9)을 나타내는
단위
로도 쓰인다. 1m의 10억분의 1인 1나노미터(nm)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8만분의 1크기에 지나지 않는다. 당연히 이 정도의 영역에서는 기존의 물질이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다른 특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나노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
2015.11.24
어디로 튈지 모르는 플라즈마를 토카막 안에 얌전히 잡아두기 위해서는 100만분의 1초
단위
로 동작시간을 조정해야 한다. 플라즈마의 움직임을 제어하지 못한다면 플라즈마는 아주 짧은 시간동안 밖에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플라즈마가 가둠 장치를 빠져나가려고 할 때 이를 잡아주는 동시에,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약 7배 정도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니 계산량을 7배 늘리면 될 것 같지만 저 해상도는 길이
단위
라는 점을 생각해야 돼요. 바닷물은 3차원 공간에 있는 입체니 바다 전체를 가로, 세로, 높이 2km인 정육면체로 쪼개어 분석하던 것을 각 변의 길이가 300m인 정육면체로 잘게 나누는 셈입니다. 결국 해상도를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실장 대한민국 반도는 3,300개가 넘는 섬으로 둘러 싸여 있다. 이 수치는 국토
단위
면적당 세계 최상위권을 자랑하는 수치다. 우리는 우리나라 섬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몇몇 관광지로 유명한 섬을 빼면 일반인들에겐 그 존재 의미조차 무색하게 여겨진 것이 우리의 섬들이 아니었는가? 이 ... ...
중국, 먼 바다 해상풍력단지 건설 시작
2015.11.12
주체들은 매월 국가신재생에너지정보관리센터에 사업의 건설 정보를 전달하고 각 성(省)
단위
의 에너지 주무부처는 관련 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해야 한다. 자료제공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바다의 총천연색 속살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신안군 등 한반도 서쪽 연안 인근까지 접근했다고 한다. 이처럼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일
단위
로 촘촘하게 구성된 조사정보는 천리안위성이 매일 8회 한반도 주변의 해역을 관찰하기에 얻을 수 있었다. 현장조사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귀중한 정보다. 한국의 바다를 상시 관찰하는 해양위성연구센터 ... ...
신재생에너지를 위한 정책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의무비율도 2014년 12%에서 2015년 15%로 확대했다. 연면적 1000㎡(
단위
확인바랍니다) 이상인 공공건물을 신축하거나 증축 또는 개축할 때는 예상에너지 사용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도록 설비를 갖춰야 한다. 신재생에너지 수출 확대에도 나섰다. ... ...
에너지 문제 해소를 위한 핀란드의 선택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사용후핵연료만 잘 관리하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도 거의 없었다.
단위
면적당 발전량도 높아 핀란드의 울창한 삼림에 가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석연료처럼 소수의 특정국가에 의존하는 정도가 훨씬 덜하다. 사실 핀란드가 원자력으로 선회한 것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