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스페셜
"
논란
"(으)로 총 8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운영을 자율에 맡기겠다는 시도도 걱정스럽다. 의료개혁을 빌미로 의대 입학정원에 대한
논란
이 극심한 상황에서 의대의 자율적인 학제 개편 가능성까지 들고나온 교육부의 의도를 의심할 수도 있다. 2학년 이상에게만 허용됐던 전과(轉科)를 1학년 학생에게도 허용하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부동산 통계 조작'이나 '재정 통계
논란
'은 그런 원칙을 무시했기 때문에 발생한
논란
이었다. 이제라도 국가 통계를 문란하게 만든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제한적인 표본에 대한 자의적인 질문으로 생산되는 '여론조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것도 마찬가지다. 통계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뇌가 담당하는 고도의 기능을 못하게 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합당한 치료법인가에 대한
논란
이 일어났다. 실제로 수술을 받은 환자는 뇌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없는 손상이 가해지므로 성격이나 감정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1970년대 이후에는 이 수술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고위 관료의 인사청문회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가짜‧유사 학술지‧학술회의’
논란
의 단초가 그렇게 만들어졌다. ‘세계 최고’를 지향해야 한다는 정책도 있었다. 대학의 벽을 넘어선 ‘우수연구센터’도 만들었고 ‘창의적 연구’를 하는 과학자도 선정했다. 전국의 우수 대학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인공 배아모델 연구 3개를 조명했다. 이들 과학자는 인공 인간배아 모델의 도덕적
논란
을 극복하기 위해 줄기세포에 주목했다. 인간의 정자와 난자가 아닌 줄기세포를 사용한 배아는 국제 연구윤리 가이드라인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앞서 국제줄기세포연구학회는 정자와 난자를 수정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과학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엎친 데 덮친다고 수상 업적에 대한
논란
도 심심치 않게 불거지고 있다. 수상자 선정의 공평성은 처음부터 심각한 문제였다. 모두가 인정하는 훌륭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노벨상을 받지 못한 과학자가 적지 않다. 일본은 지금도 ‘일본 세균학의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악독한 범죄자나 천하의 패륜아일지라도 그들의 생명을 죄값으로 뺏는 것에는 항상
논란
이 있으며 인간 존재가 다른 가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는 생각에 대부분 동의한다. 그러므로 더 나아가 낙태, 줄기세포 연구, 유전자 조작, 임상 시험 등 의학과 과학이 다루는 연구 주제 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
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분류된다는 뉴스가 화제다. 위키미디어 제공 최근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분류된다는 뉴스가 화제다. 설탕보다 200배나 더 달다는 아스파탐은 뒷맛이 쓴 사카린 등과는 달리 단맛의 질이 좋아 가장 널리 쓰이는 인공감미료다. 분자 구조도 꽤 흥미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인공적으로 합성한 물질이어서 인체 안전성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절대 아니다.
논란
이 많았던 사카린도 이제는 인체 부작용을 걱정할 이유가 없다는 사실이 과학적을 분명하게 확인되었다. 반대로 자연에서 생산되는 천연물이라고 모두 안전하다는 인식도 매우 잘못된 것이다. 복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지각의 경계면에서 새어 나올 수 있다. 다만 실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
중이다. 아무튼 미생물이 지구의 주된 수소 발생원인 줄 알고 있었던 나로서는 다들 놀라운 사실이다. 2019년 미국의 스타트업 네추럴하이드로전에너지는 네브라스카의 옥수수밭과 콩밭 사이에 미국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