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냉장고"(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속의 기술] 아이스크림에 대한 세 가지 궁금증KOITA l2014.12.15
- 느낌은 무엇일까. 기존에 마트에서 판매하는 아이스크림은 공장에서 만든 뒤 도매점 냉장고를 거쳐, 소매점에 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아이스크림은 유제품인 만큼 아무리 냉장처리를 잘 해도 처음처럼 신선하지는 않는다. 목장에서 갓 짜낸 우유(그렇다고 이걸 바로 먹는 것은 아니지만!)와 ... ...
-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KOITA l2014.12.01
- 싸다? 제습기도 전기먹는 하마다! 제습기의 소비전력이 적다는 것도 오해다. 일반 가정용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100~200W인 데 비해 제습기의 소비전력은 200~300W로, 거의 두 배다. 동일 면적에 사용하는 에어컨과 소비전력이 비슷하다. 일단 가동시키면 제습기나 에어컨이나 전기를 많이 먹기는 ... ...
- [Green Community_세계녹색명소] '에너지 자립의 미래' 가사도와 삼마도동아사이언스 l2014.11.14
- 세차게 불면 전기도 못 쓰고 늘 정전 걱정을 안고 살았으며, 자주 끊기는 전기 때문에 냉장고, TV 등 가전제품의 성능이 떨어져 자주 바꿔야 했다”며 이번 조성사업을 반겼다. 가사도,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도입 삼마도에 이어 10월 2일 준공식이 열린 가사도는 3개 마을로 구성돼 있으며, 16 ...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KOITA l2014.04.17
- 만든 재료는 꼭 때가 조금 탄 스티로폼과 비슷해진다. 하얗고 고른 외양은 아니지만, 냉장고 쯤은 거뜬히 지탱할 수 있을 있을 정도로 강하고 불에도 타지 않는 내연성을 지닌다. 균사체가 실처럼 생긴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기에 내부에는 미세한 구멍이 나 있고, 이 때문에 자연스럽게 공기층을 ... ...
- [Keyword로 읽는 과학] 좀비가전, 냉장고 문이 저절로 스르륵?!KISTI l2014.03.19
- 대상이 될지 모른다는 건 공상이 아니다. 지난 1월 미국의 보안 업체 프루프포인트는 TV나 냉장고와 같은 가정 내 가전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 사례를 공개했다. 이들의 발표에 의하면 2013년 12월 23일부터 2014년 1월 6일까지 약 보름간 악성 이메일 75만 건이 발송되었다고 한다. 국내 보안 업체들은 이미 ... ...
-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KISTI l2014.01.29
- 하는 것과 비슷한 판단을 내리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앞서 언급한 냉장고가 마트에 주문한 물건을 이족보행로봇이 들고 온다고 상상해보라. 비교적 단순한 노동은 당장이라도 로봇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뉴욕타임스 ... ...
- [웹툰] 오줌 분수KOITA l2013.12.12
- 공사가 어렵다고 마다했지만, 대학원생은 할 수 있습니다. 교수님의 지도로 코끼리도 냉장고에 넣을 수 있다는 바로 그 대학원생이 우리입니다. 설치하면서 우리가 가장 걱정했던 부분은 냄새입니다. 원래 있던 변기보다 냄새가 더 나서는 절대 안 됩니다. 오줌에 물만 닿지 않아도 냄새가 임계점 ... ...
- 솔잎이 없으면 송편이 아니다?KISTI l2013.09.12
- 가장 잘 일어나는 온도가 딱 냉장실 온도(0~5℃)란 말야. 그러니까 떡이나 밥을 냉장고에 넣는 건 노화돼라, 노화돼라, 노래를 하는 거랑 같은 거야. 그러니까 차라리 냉동실에 보관해뒀다 녹여 먹는 게 좋아요. 노화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다시 말랑말랑 맛있어 지거든.” “아이고 내 새끼, ... ...
- 무더위, 선조들은 에어컨 없이 어떻게 견뎠을까?KISTI l2013.07.10
- 신기하더라고요. 이 뜨거운 여름에 어떻게 얼음이 녹지 않고 남아있을 수가 있어요? 냉장고도 없는데?” “그러니까 우리 선조들이 위대하다는 거야. 석빙고의 구조를 보면 옛 사람들이 얼마나 머리가 비상했는지 알 수 있어요. 석빙고의 천장은 아치형을 하고 있단다. 당연히 벽돌들이 딱 붙어있는 ... ...
- 생활 속 전자파 줄이는 법! 관건은 '이것'KISTI l2013.07.01
- 밥을 담는 순간에도, 냉장고에서 반찬을 꺼내는 찰나에도 전자파는 흐른다. 냉장고의 경우 앞쪽보다는 뒤쪽에서 상당히 강한 전자파가 발생된다.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처음 연결되는 신호가 나올 때 가장 많은 전자파가 흐르고 엘리베이터처럼 밀폐된 공간에서는 신호를 잡기 위해 더 강한 전자파가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