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냄새"(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의 도전과 한계동아사이언스 l2023.07.16
- 하는지에 대한 에세이를 기고했다. 사이언스는 "AI는 아직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다. 냄새를 맡을 수 없고, 팀으로 일할 수 없으며, 감정을 느낄 수 없고, 창조할 수도, 추론할 수도 없다"며 "하지만 AI는 인간이 한계를 뛰어넘어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그 핵심은 AI의 위험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2023.07.15
- 멈춘다는 게 가능한 일이야? 그런데 왜 멈추라는 거지? 생각보다 어려운데. 어 맛있는 냄새 등등 생각을 멈추려고 애써보면 반대로 마음이 평소에 얼마나 정신없이 바쁜지 깨닫게 된다. 단지 평소에는 눈치채지 못할 뿐. 우리 마음은 대체로 부산한 편이다. 잠에 쉽게 들지 못하는 것 역시 눈만 ...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2023.05.26
- 돼지갈비찜 맛은 부모님만 만나면 생각날 수도 있고 비슷한 외관의 음식을 보거나 양념 냄새를 맡기만 해도 이미 그 맛이 느껴진다. 더운 여름 땀을 흘려 목이 마를 때 편의점 간판을 보면 나도 모르게 머릿 속에는 차가운 음료수를 마셨을 때 그 짜릿함과 갈증 해소의 느낌이 떠오른다. 그렇다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해야2023.05.23
- 수도 있는 일이다. 실제로 악취를 참다가 목숨을 잃은 경우도 있었다. 상쾌하고 향기로운 냄새를 풍기는 ‘향’(아로마)이 몸에 좋을 것이라는 기대는 어설픈 착각이다. 향기도 후각기관을 자극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에 의한 것이다. 물론 그런 향기가 뇌에 작용해서 마음을 진정시켜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2023.05.03
- 식욕이 왕성해지는 배경에는 감각 민감도의 변화가 있다. 배고플 때와 배부를 때 음식 냄새와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도 몸 상태를 반영한 내인성카나비노이드의 작용 때문이다. 대마초 흡입처럼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카나비노이드를 공급하면 실컷 먹었음에도 여전히 배가 고프다는 신호가 계속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2023.04.25
- 절단했으므로 원숭이는 목 아래에 마비가 생겼지만 뇌는 잘 보존되었으므로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는 감각을 유지할 수 있었다. 원숭이는 9일만에 죽었으니 성공이라 해야 할지 실패라 해야 할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단 원숭이가 사망한 이유가 수술 실패라기보다는 면역 거부반응이 ...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2023.03.24
- 것과 유사하다. 게다가 바퀴벌레가 출몰했던 방과 비슷한 질감의 벽지나 구조, 조명, 냄새 등이 나는 방에 가더라도 예전 기억 때문에 역시 거부감이 느껴질 수도 있다. 이제 생쥐들에게 공포 조건화에 사용되었던 (더이상 중립적이지 않은) 환경 및 자극을 고통을 주는 전기 자극 없이 반복적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2023.03.22
-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적인 구조 연구를 통해 냄새분자가 어떻게 특정 냄새수용체에서는 활성화를 촉진하고 다른 수용체에서는 억제하는가를 알아내야 후각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것이다. 앞으로도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휘발유와 경유 가격 역전의 진실2022.12.21
- 취사에도 사용했다. 그러나 난방용 등유는 일부 상류층의 호사였다. 요즘은 고약한 냄새 때문에 찾아보기 어려워진 ‘석유난로’와 ‘석유곤로’도 그 당시에는 뒤늦게 등장한 사치품이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아파트도 난방용 연료로 등유가 아니라 ‘중유’(重油)라고 부르던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2022.10.25
- 제거하는 수술이 1846년부터 널리 시도되기 시작했다. 에테르는 마취효과가 좋았지만 냄새가 좋지 않아서 어떤 이들은 역겨움을 호소했다. 더 좋은 마취제를 찾던 영국의 심슨(James Young Simpson, 1811-1870)은 클로로포름의 마취효과를 발견하여 무통분만에 이용했다. 그의 시도는 아주 성공적이었으므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