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스페셜
"
꽃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날개를 자랑하는 나비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의 모습을 실었다.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꽃
인 프시구리아에 앉아서 꿀을 빨고 있다. 이 나비는 화려한 겉모습에 걸맞게 독특한 취향을 갖고 있다. 짝짓기를 할 배우자를 찾을 때 날개의 패턴을 따진다. 사람과 같이 짝을 선택할 때 시각적 정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발견했다. 장일 조건에서도 잎이 제대로 자라지 않아 정상 개체보다 훨씬 작은데도
꽃
은 비슷한 시기에 폈다. 개화 신호 경로는 멀쩡하고 성장 신호 경로만 문제가 생긴 것이다. 돌연변이체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당알코올인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을 만드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지정하는 MIPS1 ... ...
[과기원NOW] KAIST, AI로 사람의 뇌에서 '음악 본능'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기대하게 한다. 오는 3월 5일까지 GIST 오룡아트홀에서 열리는 장용림 작가 초대전 ‘다시
꽃
이 온다’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심 있는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뿌리는 더이상 자라지 않는다. 그런데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꽃
이 늦게 피자 뿌리가 계속 자라 굵어지면서 사람들의 주의를 끈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재배 과정에서 뿌리가 더 굵은 쪽으로 선별했을 것이다. 여기에 결정적인 기여한 유전자는 CHE, TCP23, TCP7으로 작물 게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만든 가바(GABA) 함량이 높은 토마토 시판을 승인했다”며 일본인들이 삼나무
꽃
가루증에서 벗어나게 해줄 수 있는 게놈편집 삼나무가 재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드러냈다. 지난 2021년 80세로 세상을 떠난 일본 작가 다치바나 다카시가 한 책에서 작업실 책상에 대해 언급한 게 생각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영향이 더 중요하다.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원자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밝혀낸
꽃
가루의 브라운 운동이 바로 그런 현상이다. 일반적인 물과 화학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삼중수소수(水)로 존재하는 삼중수소가 생체에 축적된다는 주장도 당혹스러운 가짜 과학이다. 알프스에 대한 가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
2023.06.03
찾기 불가능한 머나먼 것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잠깐씩 귀여운 동물 사진이나
꽃
이라도 보면서 마음에 휴식을 주는 일은 언제든지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힘든 일의 발생 여부는 나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렇게 마음을 다잡고, 내일 또 다시 무너질지언정 지금 이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아까시나무에 매우 의존적인 양봉구조로 인해 양봉산업계는 다양한 시기에 개화하는
꽃
샘식물의 식재에 소극적이었다. 이와 같은 국내외 양봉산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는 2020년 '양봉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시행해 양봉산업과 꿀벌 보호에 앞장서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밝혀진 OR51E2는 물에 잘 녹는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을 감지하는 1군 냄새수용체다.
꽃
향기를 비롯해 냄새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담당하는 2군 냄새수용체는 구조의 불안정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적인 구조 연구를 통해 냄새분자가 어떻게 특정 냄새수용체에서는 활성화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습으로 전수되는 꿀벌의 8자 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하지만 춤의 정교함이 부족했다. 연구팀은 “성체로부터 배우지 못한 꿀벌들의 8자 춤은
꽃
의 거리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에서 많은 오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태어난 직후 춤을 배우지 못한 꿀벌들은 나중에 다른 꿀벌이 춤을 추는 모습을 보며 재학습을 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