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페더
솜
털
우모
스페셜
"
깃털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4색형 색각에서 비스펙트럼 색으로 보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반면 3색형 색각인 사람은
깃털
색에서 불과 7%만을 비스펙트럼 색으로 보고 식물 색도 19%만 비스펙트럼 색으로 본다. 그나마 식물 색에서 비스펙트럼 색 비율이 높은 건 식물에만 존재하는 색소인 안토시아닌 덕분에 자주색 계열이 흔하기 ... ...
[인간 행동의 진화] 진정한 사랑?...마음 속에서 스스로 생겨나는 것
2020.09.27
수동적 반응을 일컫는다. 동물은 ‘의식적’으로 자신의 반사를 억제하기 어렵다. 코에
깃털
이 들어가면 재채기를 하고, 큰 소리가 들리면 귀가 쫑긋거린다. 아마 원시적인 동물은 이러한 반사 행동만 있었을 것이다. 같은 종에 속하는 동물은 같은 자극에 같은 반사 반응을 보였을 것이다. 원시 ... ...
[표지로 읽는 과학]카나리아 암수
깃털
색 차이를 만든 단 하나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주로 발견되는 색소다. 색이 덜 화려한 카나리아 암컷은 BCO2 성분이 많이 나오며
깃털
이 색색으로 물드는 것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암수의 차이에 대해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BCO2 발현을 조절하는 것 같다는 가설을 제시했지만 추가 연구가 이어지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새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야간투시장비를 설치했다. 펭귄이 감염병에 노출됐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혈액과 뼈,
깃털
등도 모았다. 육식 동물은 역할을 하지 않았다. 펭귄을 검사했을 때 고양이나 쥐에 물린 흔적은 어디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카메라에도 공격의 흔적이 없었다. 질병 또한 후보가 아니었다. 연구팀은 혈액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8일 화려한
깃털
을 자랑하는 열대 지방의 새가 강렬한 눈빛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이번 표지의 주제는 중앙아메리카의 새 다양성에 농업 형태가 미치는 영향이다. 그레첸 데일리 미국 스탠퍼드대 보전생물센터 교수팀은 코스타리카의 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있다. 하나는 본성적 운동이다. 무거운 돌멩이를 손에서 놓으면 땅으로 떨어진다. 가벼운
깃털
은 하늘로 올라간다. 왜냐하면 무거운 물체는 무겁다는 본성 때문에 그 본성의 근원인 지구를 향하게 되고 가벼운 물체는 가볍다는 본성 때문에 그 본성의 근원인 천상을 향하기 때문이다. 이런 운동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견고해 색이 바뀌지 않을 때 구조색이라고 부른다. 자연계에서는 곤충의 외골격과 새의
깃털
에서 구조색을 흔히 볼 수 있다. 가장 유명한 예는 몰포(morpho)나비 날개 비늘의 구조색이다. 중남미 열대림에 사는 몰포나비는 비현실적으로 아름다운 파란색 날개를 지니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색소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새
깃털
입고 박쥐처럼 날아다닌 암보프테릭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몸에는 털이 나 있어 언뜻 새와 비슷하지만 날개는 박쥐와 닮았다. 그 증거로 앞다리에
깃털
이 돋아있었던 흔적과 함께, 기다란 앞발가락 사이사이에 얇은 가죽이 막처럼 쳐져 있었다는 흔적이 뼈에 남아 있다. 연구팀은 암보프테릭스 화석이 공룡과 익룡, 조류, 박쥐가 어떤 식으로 진화해 하늘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아한 도둑 파랑새 큰애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7일자 표지에 실었다. 큰애니는 뻐꾸기목에 속하며 온몸이 짙은 파란색으로 윤기가 나고,
깃털
테두리에 구릿빛을 띤다. 그런데 이 아름다운 새에게는 몹쓸 습관이 하나 있다. 바로 남의 둥지를 훔치는 것이다. 크리스티나 리엘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학및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파나마 야생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활성화되면(빨간색) 땀샘(포유류)이나 비늘(조류)이 되고 억제되면(파란색) 털이나
깃털
이 된다. - K. Sutliff/‘사이언스’ 제공 ● 털에 있어서 인간은 별종 포유류 체계적으로 정리된 교재를 읽는 것만은 못하겠지만 한 주제를 폭넓게 다룬 교양과학책을 읽는 것도 숲을 보는데 도움이 된다. 지난주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