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하학"(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필즈상]제임스 메이나드 "소수는 모든 수의 원자이다"수학동아 l2022.07.05
- 진행한 이메일 인터뷰에서 소수의 매력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메이나드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선구자인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같은 위대한 수학자와 같은 상을 탄다는 것이 실감 나지 않는다. 훌륭한 후보들 사이에서 제가 뽑힌 것은 정말 행운이다”라고 수상 소감을 덧붙였다. 메이나드 ... ...
- [2022 필즈상]사상 두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우크라이나에 희망 되길”수학동아 l2022.07.05
- 잘 안 된 분야다. 정의가 정확히 잘 안 되어 있어서,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등장한다. 기하학, 대수학, 동역학, 해석학 등 모든 분야의 질문에 정수론을 발견할 수 있어서 재밌다. Q. 당신은 우크라이나 출신의 수학자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필즈 메달 수상 소식이 우크라이나에 어떤 의미를 줄 수 ...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2022.07.05
- 얻게 됐다. 허 교수의 석사 논문을 지도한 김 교수와 히로나카 교수를 통해서 배운 대수기하학적인 사고는, 이후에 조합론 분야에서 다른 조합론자들이 가지지 못한 그만의 비장의 무기가 되었다. 한국에서 정부 주도로 운영된 석학 초청 프로그램들에 대한 평가는 후하지 않다. 하지만 히로나카 ... ...
- [엄상일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난제인 조합수학을 대수기하학이란 도구로 해결한 아이디어맨2022.07.05
- 시작하면 계속 감소한다는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됐다. 허 교수는 그 후에도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다. 필즈상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2022.07.05
- 이메일이 나중에 와서 너무 기뻤다. Q. 박사 과정 졸업 전인 2012년에 석사 전공인 대수기하학의 도구를 이용해 조합론의 난제를 해결하는 논문을 냈지 않나. 조합론을 원래 좋아했나? A. 부끄럽지만,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할 쉔크((Hal Schenck) 교수를 만나면서 조합론을 처음 배웠다. 그때 ... ...
- [2022 필즈상] 필즈상은 어떤 상인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받은 인도계와 중국계다. 필즈상은 노벨상보다 잘 알려진 수상자가 많지는 않다. 기하학과 위상수학의 대가이면서 첫 여성 필즈상 수상자로도 화제가 된 이란의 마리암 미르자카니(2014년), 대수적 정수론 난제를 푼 미국의 만줄 바르가바(2014년), '세계에서 가장 IQ가 높은 사람'으로 유명한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는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석사 과정에 입학했다. 석사 과정에서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의 지도로 대수기하학 연구를 시작했고 초곡면을 평면으로 잘라서 얻는 특이점의 밀러 파이버를 연구해 2009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을 위해 미국 유학길에 올랐고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있던 2012년 수학계의 오랜 ... ...
- [표지로 읽는 과학]유리를 인쇄하다동아사이언스 l2022.04.17
- 50㎛ 두께로 인쇄가 가능하도록 했다. 테일러 교수는 “유리나 폴리머를 더 빠르고 기하학적 자유도가 높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잠재적으로 새로운 장치 기능을 만들거나 저렴한 제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 [2022 필즈상 후보] (5)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수학동아 l2022.04.09
- 함수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해석학의 근원적인 내용이라 기하학, 정수론 등 여러 분야에서 이를 기반으로 연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유하자면 연산에 기본이 되는 덧셈의 성질을 알아낸 셈입니다. 수학동아DB 최경수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는 “로구노프 ... ...
- [랩큐멘터리] AI 속에 담긴 수학의 비밀 푼다동아사이언스 l2022.02.02
-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밑도드리의 창작 원리를 파악한 것 외에도 위상수학, 기하학, 대수학을 기반으로 의학, 천체물리, 음악 분야 등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가령 동맥경화가 발생하면 혈류가 막힌 혈관 부위를 중심으로 와류같이 도는 구조가 생기는데, 그 혈류의 주기를 ... ...
이전123456 다음